유쾌한 하녀 마리사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갖 욕망과 판타지, 종횡무진 확장해가는 이야기의 왕성한 번식력을 확실하게 보여준 그의 전작 [고래]때문인가. 그가 썼다는 책은 거두절미하고 읽고 싶다는 기대감에 부푼다. 최근 그의 인터뷰를 보고 뒤늦게 이 책을 찾아내 읽었다. 결론은 전작인 [고래]의 아성이 너무 두터워 그에 반할만큼 획기적이라는 느낌은 없었지만, 그만의 독특한 캐릭터와 위트는 여전했고 보통 사람들의 현실적인 고민과 진지함을 보여준 단편들은 그에게 규정한 영역을 뛰어넘어 진실되게 다가왔다. 
 

그러나 이 소설집에서 보여준 그의 새로운 매력은 특이하게도 외국인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이야기들이다. [유쾌한 하녀 마리사]에서는 듣도 보도 못한 포르투갈 하녀 마리사와 [프랑스 혁명사-제인 웰시의 간절한 부탁]에서는 철학자 토머스와 존, [더 멋진 인생을 위해-마티에게]에서는 추억을 회상하는 늙은 갱단 폴이 등장한다. 다들 저마다의 사연을 가지고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놓는다. 제목처럼 유쾌하기도 하고 때론 우울하며 당황스럽기도 하다. 이런 특별한 주인공들만으로도 이야기는 기성작가들에게 느낄 수 없는 새로운 재미와 즐거움을 준다.
 

그렇게 가볍고 무거운 기분을 오가며 읽은 단편들이지만 왠지 영국작가 로얄드 달의 단편을 보는 것 같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생각지 못한 반전과 전개가 너무나 유사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외국인이 주인공인 단편들은 더욱 그러했다. 뭐, 비난하고 싶은 건 아니지만 처음에 느꼈던 새로움은 차츰 반으로 줄 수 밖에 없었다. 그래도 그가 보여주는 평범한 삶에 녹아있는 보통사람들의 모습은 마치 우리의 일상처럼 가엾기도 하고 씁쓸하기도 했다. 
 

사실, 스무살 나이엔 아무것도 절실한 게 없다.
그것은 젊음이라는 빛나는 재산이 있기 때문이 아니라 아직 욕망이 구체화된 나이가 아니기 때문일 것이다. 젊음은 그저 무지와 암흑의 카오스에 갇혀 있는 어설픈 가능태일 뿐, 특별한 의미는 없다.   

-유쾌한 하녀 마리사 中 [二十歲] 



[자동차없는 인생],[숟가락아 구부러져라], [비행기]에서 나오는 주인공들의
녹록치 않은 하루살이에 지치고 힘들어 크게 소리칠 힘조차 잃어버린 모습은 코끝이 찡해지게했으며 어깨를 토닥여주고 싶다는 생각마저 들게 했다. 사람들로부터 소외되버려 제발 봐달라고 소리없이 외치는 그들의 절규는 가슴 먹먹해지는 공허함과 외로움을 안겨주었다. 무엇보다 이런 캐릭터들이 보여주는 우스꽝스러운 겉모습에 감춰진 고뇌와 슬픔으로 얼룩진 내면을 들여다본 뒤에야 그는 진짜 이야기를 꺼내놓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치 [고래]의 춘희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