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의 미술관 - 그림이 즐거워지는 이주헌의 미술 키워드 30 이주헌 미술관 시리즈
이주헌 지음 / 아트북스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는 것이 힘이라는 속담이 있다. 그 속담에 걸맞게 미술작품은 아는 것만큼 보이는 진리가 통한다. 많은 그림을 보고 감각적으로 느껴야 한다고 작가는 말하지만 그림의 배경지식이나 에피소드를 알고 보게 되는 미술은 마치 색다른 경험을 하는 것처럼 신선하게 다가온다. 평소 미술관하면 고상하거나 딱딱하고 부담스러운 장소라고 생각해 특별한 약속을 잡지 않는 이상은 잘 가지 않게 되는 곳인데, 그만큼 가고 싶은 장소이기도 했다. 그 어려운 첫 약속을 이 책과 했다. 작가가 소개하는 미술에 관련된 서른가지 키워드를 통해 쉽고 친근하게 미술에 다가가는 계기가 되어주는 책이었다. 지루하고 난해하지 않을까 걱정했지만 그건 기우였다. 프린팅된 빛바랜 그림을 자세히 볼수록 집안의 어느 곳을 장식하고 있는 그림인 듯 가까이에 있지만 그 진가를 알지 못했던 골동품을 보는 듯 흥미로웠기 때문이다. 그리고 책의 타이틀대로 미술에 대한 풍성한 지식이 가득하다.


흔히 미술을 공간예술이라고 하지만, 이렇듯 미술은 단순히 공간을 시각적 감각에 의지해 파악하고 표현하는 예술이 아니라, 공간과 세계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토대로 그 속에서 벌어지는 갖가지 사건들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사유를 다양한 조형 형식에 의존해 표현하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   -p.87
 

렘브란트나 고흐, 클림트, 모네등 현대 가장 좋아하는 작가의 그림을 비롯해 18,19세기의 다양한 생활양식과 풍습을 보여주는 독특한 그림들은 미술에 대한 새로운 해석도 가능하게 했다. 주로 보아왔던 인물, 풍경, 추상화외에도 귀족들의 사치나 허영을 보여주는 사냥감, 수집품들을 모아놓고 그린 '쿤스트카머'나 '피나코데카', 사물곁에 실제 존재하는 것처럼 사실적으로 묘사해그린 '트롱프뢰유'그림들은 미술이 이해하기 어려운 장르라는 편견을 깨고 우리 주변의 일상도 얼마든지 미술의 소재가 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좋은 예였다. 또한 다양한 주제로 접근한 독특한 그림들은 그 나라의 미술관이나 미술전문서적이 아니면 평소 찾아보기 힘들 것 같다는 생각에 더 자세히 보게 되었다. 그리고 누드하면 여자의 나체를 그린 누드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 서양미술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그 기원은 남성누드라고 한다. 남성누드 조각상을 통해 드러난 당시의 남성주의 가치관과 성차별적인 미의식은 가히 그런 깊은 뜻이 있는지 미처 몰랐는데 조각들이 새롭게 보였다. 걸작을 본 후 흥분이나 우울증, 호흡곤란, 마비등의 증상을 보이는 '스탕달 신드롬'과 히틀러의 문화적 침략전략을 가능하게 한 제3제국의 미술은 그림의 영향력과 파급력을 제대로 보여주는 듯 했다. 
 

그림을 보는 방법, 창조와 관련된 이야기, 감각적인 그림아이콘, 시대상을 비추는 그림, 그림바깥의 욕망 총 다섯가지 대주제로 나뉜 키워드에는 대부분이 생소한 단어들이었다. 그림외적으로 드러난 작가의 사생활에 관련된 가쉽거리만 빼면 미술이론서가 아닐까 읽기 전부터 지레 겁을 먹은 것도 사실이었지만, 단어들을 풀어놓으며 작가가 독자에게 말하고 싶었던 건 고상한 예술장르로서의 미술이 아니라 알수록 재미있어지는 미술의 매력이 아니었을까 싶었다. 나 역시 읽는 내내 미술이 이렇듯 매력적이라는 걸 몰랐기 때문이었다. 막연히 알고 싶고 느끼고 싶다는 생각만 앞섰지 그림의 배경이나 사전지식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찾아보려는 노력이 없었다는 생각에 반성하게 됐다. 그리고 작가의 충고대로 그림에 대한 감상이나 이해의 방법 대신 많이 보고 느끼며 감각을 벼르는 일이 무엇보다 선행되야 할 것 같다. 사진을 잘 찍기 위한 방법을 고수들에게 물어보면 한결같이 많이 찍어보고 무엇보다 많은 작품을 봐야한다고 말한다. 불편하고 낯선 곳이라 방문하기 꺼려하던 그 곳, 쉬는 날엔 꼭 가까운 미술관에 가봐야겠다. 
 

미술작품은 텍스트로 읽고 이해하는 대상이 아니다. 그것은 음악처럼 감각으로 접하고 느끼는 대상이다. ......(중략) 가장 중요한 것은 경험의 확대를 통해 감각을 예리하게 벼리는 일이다. 감각을 벼리는 일은 오로지 접하는 것을 통해 가능하다. ......(중략) 옛날부터 문자를 숭상해온 우리나라 사람들은 사물을 언어적으로 이해하려는 욕구가 강하다. 예술도 그렇게 이해되기를 원한다. 하지만 감각을 고도화하는 것 말고 예술을 이해하는 다른 지름길은 없다. 감각이 고도화되어야 텍스트를 통한 이해의 노력도 제 빛을 발한다. 미술 감상과 같은 예술 감상이 교육적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 부분이 여기 있다. 감상은 감각을 벼려주고, 벼려진 감각은 재능이 된다.     -p.1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