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저리 스티븐 킹 걸작선 10
스티븐 킹 지음, 조재형 옮김 / 황금가지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저리하면 영화나 원작보다 먼저 떠오르는 것이 열성팬을 패러디한 많은 유머들이다. 미저리(애니 윌크스)를 그런 식으로 우스꽝스럽게 그린 개그나 유머때문인지 책을 읽으면서 애니가 비정상의 경계를 넘나들고 사이코패스같은 잔인한 모습을 보일 때는 깜짝 놀라기도 했다. 하지만 눈을 찡그리는 잔인함에 몸서리 치면서도 애니에게 감금된 폴이 어떻게 탈출할 것인지, 복수는 하게 될는지 궁금해 쉽게 눈을 뗄 수가 없는 책이었다. 이름만으로도 명성을 짐작할 수 있는 스티븐 킹과의 첫만남을 미저리로 시작했으니 다음 작품은 더욱 기대된다. 
 

미저리는 주인공 폴 셸던이 대중적으로 인정받게 된 베스트셀러의 제목이다. 미저리의 이미지가 워낙 강해 실제 폴을 감금했던 애니의 이름이 미저리일 것이라고 당연하게 여겼던 나의 착각을 여지없이 깨뜨렸다. 그렇지만 폴의 묘사로 생생하게 살아나는 애니의 외양과 섬뜩한 무표정만으로도 미저리의 공포분위기를 조성하는데는 더할 나위가 없다. 집으로 가는 길 폭설에 미끄러진 자동차안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진 사람이 미저리의 작가 폴이라는 걸 확인한 순간 애니는 그를 자신의 집으로 데려와 감금한다. 사고때 다친 다리로 움직이지 못하는 폴에게 어떤 치료도 해주지 않고 -전직이 간호사임에도- 노브릴이라는 진통제만을 주며 그에게 종용한 미저리에서 죽은 미저리를 살려내라고 말한다. 
 

사고 직전 2년의 공을 들여 완성한 소설 [과속차량]을 폴의 눈 앞에서 직접 태우게 만든 애니에게 폴은 강한 증오심을 불태운다. 그리고 애니의 강요로 자신이 끔찍히도 벗어나고 싶어했던 미저리의 이야기속으로 끌려들어간다. 폴은 그 과정이 자신이 생각했던 것만큼 힘들지 않다는 사실에 놀라며 빠른 속도로 애니만을 위한 [돌아온 미저리]를 완성해나간다. 그 사이 그에겐 비극적인 일도 일어나며 감금된 방을 벗어날 기회도 주어지지만 치밀한 애니의 눈을 속이기엔 역부족이었던 듯 더 끔찍한 재난이 기다린다. 
 

소설 속에서는 모든 것이 계획대로 움직이지만...... 인생이란 참으로 지랄맞게 난잡한 이야기이다. 인생을 좌지우지하는 중요한 대화가 오갈 때마다 흉한 꼴을 당해야 하는 현실 속에서 고상하고 인간적인 해결책이 나올 수 있을까? 현실을 소설처럼 깔끔하게 장으로 나누기라도 하란 말인가?    -p.539 


조울증으로 극과 극을 오가는 애니의 심리가 감금된 폴의 입장에서 씌었기 때문에 그녀는 더욱 공포스럽고 거대한 존재로 비친다. 소설의 긴 도입부만 읽었을 땐 애니가 이렇게 본색을 드러내며 괴기스럽게 변할 줄 몰랐다. 오히려 폴이 인질범에게 동화되는 스톡홀름 신드롬으로 내적 변화를 일으키는 건 아닌가하는 짐작도 멋대로 해보았는데 나의 추측은 빗나갔고, 애니의 잔인함이 드러나는 순간 그녀에겐 일말의 동정도 줄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녀의 정신이상이나 살인에 어떤 계기나 과거가 설명되지 않는 것도 그녀를 더욱 사악한 살인마로 만들어주었다. 그리고 캐릭터가 주는 공포심도 컸지만 눈 속의 외딴집, 움직일 수 없는 두 다리, 정신병자 살인마가 있는 폐쇄된 공간의 완벽한 배경이 소설의 으슬으슬 두려운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켰다. 피튀기는 잔인한 장면이나 디테일한 상황묘사로 자극적인 공포영화에서는 진짜 공포나 재미를 느껴본 적이 없는데, 분위기나 캐릭터만으로 내면의 공포를 불러왔다는 점에서 역시 소설의 힘을 느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