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라벌 사람들
심윤경 지음 / 실천문학사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오래전부터 고집해오던 책읽기방식은 전작(作)인데 최근에 빠진 국내작가가 심윤경이다. 책쟁이들 사이에서는 알아주는 그녀의 처녀작 "나의 아름다운 정원"은 마치 나의 유년을 관통한 듯 아릿아릿했다. 뒤이어 읽은 <달의 제단>과 <이현의 연애>도 날카로운 첫키스의 추억처럼 묘한 쾌감과 아픔, 혼란을 동시에 몰고 왔다. 그녀의 사고와 생각은 독특하다. 기성작가에게서 찾을 수 없는 강렬함과 관념의 틀을 깨버린 반항심, 지독한 극단, 정곡을 찌르는 간결한 문체와 묘하게 마음을 울리는 감정이 뒤엉켜있다. 
 

그토록 좋아하는 작가임에도 평소 멀리하던 시대물에, 기피하는 분야인 연작을 써놓고보니 선뜻 손이 가지 않을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요즘 유행처럼 번지는 TV드라마 <선덕여왕>이나 예전에 읽은 <미실>덕분인지 오히려 질리게 보아온 조선시대보다 신선했고 파격적이었다. 삼국유사를 모티브로 쓴 글이라지만 이건 과장이 지나친데?라고 생각한 부분도 있었다. 하지만 신라의 시대적 관습이나 제도를 생각해보면 충분히 가능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무언가 변화를 눈 앞에 두고 꿈틀거리는 거대한 이무기의 모습처럼 열정적이고 거침없으며 역동적인 서라벌 사람들의 모습은, 성장을 멈춘 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작금의 세태를 꼬집고 있는 듯 했다.

 
왕족인 성골이면서 신적인 존재로 추앙받는 칠척오치 거구의 연제태후, 신라시대의 청소년 수양단체로 알려진 화랑도에서 벌어지는 공공연한 동성애, 신이 되고자 했지만 오히려 추하게 변해버린 무열왕, 교합제라하여 많은 사람들 앞에서 벌어지는 남녀의 정사, 간밤에 달게 마신 물이 해골에 고인 물이었다는 일화로 유명한 원효대사의 비보이를 연상시키는 떠들석한 법회장면등 그들이 보여주는 모습은 본능과 욕망에 충실하기 때문에 순수해보이기까지 한다. 많은 굴레와 시선에 억압받는 현실이 상당히 대조적으로 비춰졌고, 예의와 도덕이라 일컬어 우리를 가두려는 사회그늘에 목이 옥죄어오는 듯 갑갑했다. 

 
다행인 건 그들의 긍정적인 열정과 에너지가 책을 읽는 내게도 그대로 전해졌다는 것이다. 우리가 역사속에 정형화시켜버린 고리타분함을 벗고 21세기로 뚜벅 뚜벅 걸어들어온 서라벌의 사람들은, 일찍이 우리가 가져본 적 없는 새로운 역사의 페이지를 넘기고 있는 듯 했다. 어디까지가 상상이고 사실인지 구분이 가지 않았고 굳이 구분할 필요도 없겠지만, 작가가 그들의 모습을 결코 미화시키지 않았다는 근거와 흥미로운 발견은 서라벌 사람들을 재해석할 수 있는 많은 여지를 남기고 있다. 지금 우리가 신라시대에 열광하고 있는 이유를 알 수 있는 매우 흥미진진한 책이었다. 그리고 심윤경만의 매혹적인 글쓰기가 시대물에서 더 맛깔스럽게 빛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