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이 A
조나단 트리겔 지음, 이주혜.장인선 옮김 / 이레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1995년, 영국의 한 백화점에서 2살 여아가 실종되었다. 몇시간 뒤 싸늘한 시신이 되어 돌아온 아이의 살해범은 당시 나이 10살의 소년이었다. 영국은 충격과 공포에 휩싸였다. 왜 그렇지 않을까.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미숙한 10살 소년이 겨우 2살밖에 되지 않은 아이를 죽였다는 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킬만큼 잔혹한 살인이다. 이 끔찍한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소설은 형무소에서 15년을 보낸 후 사회에 복귀한 소년의 시선으로 쓰여진 독특한 구성의 글이다.
A-Z까지 26장으로 구성된 소설은 사회에 첫 발을 내딛으며 진짜 이름을 버리고 소년A가 잭이라는 가명으로 행복을 맛보며 사는 과정과 안젤라(소설에서는 소년과 같은 또래가 피해자로 나온다)를 살해하기 전까지 소년 B를 만나며 보낸 시기를 번갈아가며 보여주고 있다. 우울과 방황으로 점철된 시기의 소년A(안젤라를 살해하기 전의 소년)와 살인으로 씌워진 오명과 죄책감때문에 자신에게 찾아온 평범한 행복이 늘 위태한 잭의 상반된 모습에 과연 살인에 대해 어느 정도의 용서와 관용을 베풀어야하는건지 책을 읽은 후 사유해보게 되었다.
죄는 미워해도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는 성경구절이 있지만, 누구도 가장 흉악한 살인이란 범죄에 대해서는 결코 관대해질 수 없게 된다. 자신에게 해를 가하거나 위협이 될 경우의 살인은 정상참작이라는 법의 관용이 뒷따르지만, 이유없는 살인은 인간의 악함을 바닥까지 비추며 추악한 본성을 드러내는 것이기에 우리는 암묵적으로 용서하지 않는다는 사회적 동의를 하고 있다. 감옥에서 15년을 보낸 뒤 사회에 나와 또래와 다름없이 일을 하고 사랑을 나누고 친구를 만들어 평범한 시간을 보내는 동안 잭은 자신의 죄가 과거가 될 수 없다는 걸 알게 될수록 좌절하고 힘들어한다. 어린 소년이 저지른 못된 과거라고 덮어두기에 죄질이 나쁘기 때문이다. 그가 아이를 구한 선행따위는 묻혀질만큼.
나 역시 잭의 친구들처럼 차갑게 돌아설 수 밖에 없는 것인가 고민해봤다. 여자친구인 미셸의 갈등속에서도 질문은 계속된다. 소년A가 악인의 본성을 숨기고 있을 것이라는 두려움과 그보다 큰 사람들의 따가운 질시와 냉대를 친구나 연인이라는 이유만으로 견디기에 벅차기 때문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감옥에서 자유를 박탈당한 채 10년이 넘는 세월을 반성으로 보냈다하더라도, 잭에게 살인이란 꼬리표는 끈질긴 파파라치처럼 언제 어디서나 감시의 눈길을 보내고 있었다는 게 소설의 결말을 통해 드러난다. 사람들은 결코 그를 용서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가 저지른 죄와 함께. 그렇기에 나는 돌변하는 주변인들의 모습이 오히려 당연하다 생각되었다. 잭 자신도 자신이 이렇게 행복해도 되는건지, 그럴 자격이 있는건지 죄책감의 무게와 굴레를 스스로도 벗어날 수 없었듯 과거는 되돌릴 수 없는 것이다.
가해자의 입장에서 씌어진 소설이지만 잔인한 면에 초점을 맞추지 않았다. 오히려 그 가해자의 인간적인 면을 부각시켜 악인이기전에 평범해지고 싶어하는 그의 내면을 세심하게 드러낸다. 거기서 이 책의 묘미를 발견할 수 있다. 그의 인생은 죄를 짓기 전과 짓고 난 후로 양분되고 살인을 저지르기 전 따돌림에서 벗어나 해방감과 즐거움을 느꼈던 소년A의 입장과 사회에 복귀해 잠시나마 행복을 맛보았던 잭의 입장에서 읽을 수 있다. 그리고 잭의 주변인이 되어 그를 바라볼 수도 있다.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주는 소설이었다. 2007년 영화로 만들어졌다는데 어떻게 그려졌을지 궁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