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 리딩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김효순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에도 몇 십권의 신간들이 온,오프라인을 통해 쏟아진다. 그리고 책을 좋아하는 사람부터 싫어하는 사람들까지 모든 독자에게 펼쳐지길 기다리는 수많은 책들이 온사방에서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의 손길을 뻗친다. 홍수처럼 범람하는 책, 급변하는 시류 속에서 다독하지 않고는 독서가 취미라는 말을 함부로 뱉을 수 없는 분위기가 되었다. 애석하지만 나 역시 철저히 시대에 편승하는 다독을 위한 속독의 책읽기를 몸소 실천하고 있었다. 글자를 장면으로 상상하며 읽고, 습관화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나의 목표는 속독(讀)과 다독(讀)이었다. 어느 날 대형서점에서 운명적으로 이 책과 만나기 전까지, 나는 타인과 경쟁하듯 많은 책을 읽고 양으로나마 독서가 취미임이 분명하다는 것을 스스로 증명하려 했다. 또한 책꽂이에 읽지 못한 채 꽂혀있는 책을 두고도 신간에 눈독들이는 버릇이 그릇된 과시욕을 부채질했다.


그 생각이 얼마나 어리석은지를 꼬집어주는 책을 만났다. 거침없는 산업화를 추구해 온 우리에게 '슬로라이프'와 '슬로푸드'가 맹위를 떨치며 제동을 걸고 있는 지금, 작가가 권하는 '슬로 리딩'은 속독을 부추겨 온 시대를 역행하며 '슬로리더'로서 질적으로 풍요로워질 수 있는 슬로리딩의 비법을 소개하고 있다. 책을 읽고 난 후 나의 독서습관때문에 괴로웠는데 알고보니 더 많은 책을 읽기 위해 속독을 한 게 아니었다. 속독을 하기 위해 많은 책을 수박 겉핡기식으로 읽었던 것이었다. 작가가 짚어주는대로 나는 책 속의 의미심장한 장치와 수수께끼를 찾지 못하고, 전체적인 플롯만으로 나의 주관적인 생각을 엮어 책을 멋대로 평가해왔던 것이다. 그동안 읽은 책이 머리와 가슴에 껍데기만 남은 채 수북히 쌓여있는 듯 했다. 작가는 여러가지 슬로리딩의 방법을 소개했는데 그 중 크게 와닿은 몇가지만 소개하겠다. 

 
첫째, '작가의 의도'를 생각하면서 읽는 방법이었는데 국어시험의 예를 들어 쉽고 정확하게 풀어놓았다. 물론 책을 읽는 독자의 주관적인 생각이 책의 해석을 유연하게 만들어주지만 역시 작가의 의도를 무시한다면 올바른 슬로리딩이라 할 수 없음을 말하고 있다. 둘째, 창조적인 오독(讀)의 힘이다. 작가의 의도 이상으로 흥미로운 내용을 찾을 수 있는 오독의 창조성을 지지하고 있는 작가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한 권의 책을 놓고 서로 다른 해석으로 원본을 뛰어넘는 독서의 확장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셋째, 읽을 때마다 새로운 내면과 만나게 되는 재독(讀)의 가치발견이다. 어느 정도의 숙성기간을 거쳐 다시 읽게 되는 책은 첫느낌과는 사뭇 달라져 인생에 소중한 일부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넷째는 가장 기억에 남았는데 항상 '왜'라는 의문을 가지고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전에는 책을 읽으며 '왜'라는 의문을 가져보지 않았다. 그런데 작가의 말대로 '왜'라는 의문을 품자 아라비안 나이트의 이야기에 나오는 '열려라 참깨'라는 암호문이 문을 여는 열쇠가 되었듯이 왜라는 물음이 굳게 닫힌 작가의 성벽을 열어주는 것만 같았다.


'오독'에도 종류가 있다. 단순히 말뜻을 잘못 이해하거나 논리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것은 '빈곤한 오독'이요, 슬로 리딩을 통해 심사숙고한 끝에 '작가의 의도' 이상으로 흥미 깊은 내용을 찾아내는 것은 '풍요로운 오독'이다. 확실히 사람들이 제멋대로 착각을 할 때에는, 의외의 창조성이 발휘되는 법이다.   -P.63


좋은 책에는 어느 것에나 수수께끼가 존재한다. 그것을 푸는 기술은, 독자 개개인이 스스로 발견해야 한다. 항상 '왜'라는 의문을 갖고 읽을 것. 이것이 깊이 있는 독서 체험을 위한 첫번째 방법이다. 또한 독자가 책을 선택하듯 책 또한 독자를 선택한다.    -P.67


책 속에 여러 고전과 책의 일부가 인용되어 슬로리딩의 방법을 대입해 설명하는데 작가가 일본인이라 일본책이 많아 뭔가 아쉬움이 남았다. 우리나라 작가의 책도 이런 식으로 슬로리딩해본다면 다양한 해석과 의미로 다가올 것이다. 너무 깊이 파고들다보면 오래 전에 잊고 지낸 수능의 언어영역문제나 국어시험이 떠오를 것 같긴 하지만-이 책의 지문해설이 마치 그랬다- 그 때 공부했던 내용들이 10년이 넘은 지금도 생생히 묘사되는 걸 보면 슬로리딩의 장점은 충분히 설명된다. 정작 이 책을 읽을 때 가장 직접적으로 슬로리딩이 실행됐다. 작가의 꿍꿍이를 끊임없이 왜라는 의문으로 파고들게 만들었다. 아무리 재미있는 책이라도 한템포 느리게 한박자 쉬어가며 읽을 수 있는 여유를 부리면 책은 무한한 해석의 자유로움을 안겨줄 것이다. 느긋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나만의 시간과 공간에서 슬로리딩의 기쁨을 누리며 한 권의 책을 내 것으로 만드는 것. 진짜 독서란 그런게 아닐까. 요즘 부쩍 개인의 독서취향에 관한 책이 많이 출간되는데 그 중 내 맘에 쏙 드는 독서예찬론이었다. 

 
한 권의 책을 뼛 속 깊이까지 완전하게 맛보자.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독자 자신의 창조적인 글읽기이다.   -P.1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