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은 가장 긴 실만을 써서 무늬를 짠다
타스님 제흐라 후사인 지음, 이한음 옮김 / EBS BOOKS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리학의 주요한 순간을 소설의 형식으로 재조명하는 매우 흥미로운 책이다. 물리학의 주요한 발견을 한 과학자가 주인공이 아니고 그 발견의 의미를 이해할 수준의 당대의 과학자의 입장에서 그 의미를 설명하고 되새기는 책이다. 시대를 바꿔가면서 뉴턴물리학에서 아인슈타인, 초끈이론의 발견을 설명하느로 작중 화자가 바뀌어야 하고, 이를 위해 가상의 두 인물이 소설화하는 과정을 논의하는 외부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큰 의미없는 구성이고 독자들을 혼란하게 만드는 구성이라고 느껴진다)


그리고 뉴턴 시재의 작중 화자는 나쁘지 않은데, 후반부로 갈수록 작중 화자의 정체성이 모호해지고 글도 소설인지 논설인지 구분이 안될 정도로 시점이나 서술이 다소 애매해진다. 초끈 이론의 화자는 자신에 대한 설명없이 초끈 이론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여, 작가 자신의 글이 끼어들어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뉴턴이나 아인슈타인의 물리학은 어느 정도 많이 접하여서 이해하기도 쉬워지만, 초끈이론이나 양자역학의 내용은 상당히 어려웠다.


소설 형식을 이용하여 양자역학이나 초끈이론을 설명하기 쉬운 일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좋은 예시를 찾는 등의 다른 시도를 했으면 어떠했을까 생각한다. 책 중간에 저자가 13세 정도의 나이일 때 부모님이 엘레강트 유니버스를 사줘서 그 책에 흠뻑빠지고 그 이후로 현대물리를 열심히 공부했다는 내뇽이 나와 무척 놀랐었다. (아마도 저자 자신의 이야기일 듯) 내 자신도 책은 아니지만 엘레강트 유니버스 다큐멘타리를 보고 초끈이론에 무척 흥미를 가지게 된 적이 있어 저자의 이야기에 조금은 공감할 수 있었다.


책 제목이 무척 인상적인데 리처드 파인만의 초끈이론의 의미를 설명하는 문장이라고 한다. 이와 더불어 릴케의 말도 인용되었는데, 학문을 하는 좋은 자세를 알려주는 말이라고 생각된다. 질문 자체를 사랑하고 인내심을 가지면 훗날 알아 차리지 못하는 상태에서 서서히 답을 얻을 수 있다는 이야기가 인상적이었다. 초끈 이론이 그 수학적 아름다움에도 불구하고 물리적 의미를 가지는 최조억인 결과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해 안타까운 면이 있는데 릴케의 말이 초끈이론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었으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켄슈타인 (무삭제 완역본) - 현대판 프로메테우스 현대지성 클래식 37
메리 셸리 지음, 오수원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영화에서 등장한 괴물의 모습이나 로버트 드니로가 출연한 영화를 통해서만 접한 바 있고 실제로 문학작품으로 접한 적은 없었던 이 작품을 드디어 읽게 되었다. 몇년전 고전을 드라마로 각색하여 들려주는 방송을 접하면서 공포물에 그치지 않고 인간성에 대한 고찰을 하는 심오한 작품이라고 생각되어 무척 기대하였던 작품이었다.


신의 영역인 생명을 창조하면서 불행으로 빠지게 되는 프랑켄슈타인의 이야기이기에 생명 윤리에 대한 내용이 주제일 것으로 기대하였는데, 그보다는 다른 면이 더 중요한 작품이었다. 생명을 창조하기 위해 사형수의 시체를 구하고 번개를 이용하여 생명에너지를 육신에 불어넣는 뇨사 등이 중요한 내용일 것으로 기대했는데, 그 내용은 거의 없었다.


생명보다는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고 싶다는 사회적 동물 또는 초연결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모습이 무척 잘 모사된 것으로 생각되었다. 특히 펠릭스 가족의 삶을 외부에서 관찰하면서 언어를 비롯한 인간 가족의 삶 양식을 배우고 그 이후 교제를 하고 싶어하는 욕망이 잘 설명된 것 같다. 괴물의 이러한 욕망의 실현을 프랑켄슈타인이 거부한 이후로는 프랑켄슈타인을 괴롭히는 형태로 그의 사회적 욕망(?)을 실현하는 내용이 주된 스토리가 되는 것이 무척 흥미로왔다. 불완전한 방식으로 창조된 생명이기에 외모가 흉악하다(남들과 다르다)는 이유로 다른 사람들에게 배척되는 모습은 인종차별에 대한 은유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리 강하지는 않지만 빈부차에 따른 사람들 간의 갈등도 살짝 보여주는 것 같다)


공포물이나 SF라고 생각된 작품이라고 생각했는데 그 보다는 사회적 존재에 대한 고민을 담긴 대단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비슷한 배경의 지킬과 하이드나 드라큐라 같은 작품도 책으로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나은 삶을 위한 경제학 - 주류 경제학이 나아갈 길에 관하여
로버트 스키델스키 지음, 장진영 옮김 / 안타레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존의 주류 경제학의 역사와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도 제시한 책이다. 경제학 문외한이었다가 최근 팟캐스트를 통해 경제와 투자를 공부하기 시작한 사람 입장에서 간결하게 경제학의 역사를 되집어 볼 수 있는 좋은 책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기존의 경제학의 역사를 다룬 책과 다른 점은 기존의 경제학을 나열하여 특징만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경제학 이론 (또는 사조)의 문제점을 제시허고 대안을 제시하여 기존 경제학 이론에 대해 나름의 판단을 할 수 있게 해주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막스 베버의 사회학에 대해 기존에는 이 책과 유사한 판단이나 설명을 본 적이 없는데 매우 명쾌한 설명이라고 생각된다. (사실은 부르조아의 자본축적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넘어서 종교적 뒷받침을 해주었다고 생각해서 어쩌면 그 이후의 제국주의, 식민지 건설, 노예사냥의 원인이 되었다는 점에도 무척 안타까운 부분이다)


그 이외에도 행동경제학을 비롯하여 최근의 환경을 고려한 도넛 경제학 등을 설명하면서 기존의 정통 경제학의 문제점을 많이 지적하여 이에 대한 맹신을 막을 수 있는 나름의 지혜를 준다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전에 읽은 책에서도 어느 정도는 접한 적 있기는 하지만 인간의 심리나 판단 기준과 경제학에서 가정하는 합리적인 인간과는 매우 거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경제학 방법론을 고수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힘든데, 인간의 심리를 충분히 고려하면 문제가 너무 어려워지기 떄문이라고 생각된다.


간결하게 잘 쓰여져 있어 경제학 책치곤 어렵지 않은 편이지만 여러번 숙독하여 머리 속에 새겨놓고 싶은 좋은 책이라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케티의 사회주의 시급하다
토마 피케티 지음, 이민주 옮김 / 은행나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세기 자본으로 유명해진 토마 피케티의 최근 사회평론을 모은 책이다. 그의 전작 중 불평등 경제를 접한 바 있는데 상당히 어려워서 읽기 힘들었던 기억이 있어 이 번 책도 다소 걱정을 했지만 다행히도 이번 책은 비교적 어렺 않게 읽을 수 있었다.


이미 이슈가 지난 시점의 평론 (신문이나 잡지 등에 기고한 글인 듯)을 모은 책이고 프랑스 사회에 대한 내용이라 프랑스 사회나 경제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면 이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몇 년 전 일이라 관심에서 다소 벗어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책의 특징으로 개인적으로 묘한 경험과 추억을 떠오르게 되었는데, 과거 읽었던 정운영 교수의 평론집을 읽는 느낌이 들었다는 것이다. 정운영 교수의 책도 한겨레신문 등에 기고한 그의 글을 모아 책을 출간되곤 했는데, 과거 무척 즐겁게 읽었던 것 같다. (당시에는 사회에 대한 공부하는 느낌으로 읽었던 것 같다) 


그런데 피케티의 이번 책이 그 책과 분위기가 비슷하여 (사회를 바로보는 시선도 미슷하다) 의도되지 않은 추억을 느끼며 이 책을 읽었다. 프랑스의 현 마크롱 대통령이 비교벅 진보적인 인물이지만 피케티의 시각에는 부족한 점을 느끼고 안타까하는 점을 느낄 수 있다.


우리나라도 비슷한 상황이지만 자본주의의 고도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심화나 사회적 혐오의 증가, 기후변화에 대한 미온적인 대처 등에 대하 피케티의 지적응 우리사회에 적용하여도 틀리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외부으로부터 기후악당이라는 오명을 얻고있으면서도 기후변화에 대해 미온적인 대처를 한다거나 (전기자동차나 배터리 수출을 위한 산업 진흥의 기회로 보기만 하고 실제로 로 이산화탄소를 저간하려는 노력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선거 승리를 위해 보수층의 눈치를 보는 등 아쉬운 점이 먾은데 피케티같은 오피언 리더가 적은 것 같다 (있지만 언론이 외면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더 강하다)


좀 더 냉정하고 치밀한 정책을 하거나 제시할 수 있는 리더의 활동을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은 그 미국이 아니다 - 미국을 놓고 싸우는 세 정치 세력들
안병진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5월
평점 :
품절


현재의 미국 정치를 이끄는 그룹을 토크빌주의자, 헌팅턴주의자, 데브스주의자로 구분하여 미국 건국시의 정치지형과는 달라진 현재의 미국정치를 설명해주고 있다. 남북전쟁 시 노예해방을 이끈 북부의 링컨이 공화당이고 본래 프랑스 땅이었던 남부에서 민주당이 유래를 찾을 수 있지만 현재의 공화당과 민주당은 그 당시와는 완전히 달라진 것을 위에서 소개한 3개 그룹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현재 공화당은 구시대 부유층, 민주당은 젊은 부유층을 대변하면서 가난한 사람들을 대변하는 정당이 없는 상황을 이용하여 트럼프가 등장한 상황을 흥미롭게 설명하는데, 과연 저자의 생각이 미래에도 맞을 수 있을지 (미래를 잘 예측할 지) 궁금하다. 예상보다 과감하면서도 리더십을 보이는 바이든 대통령이나 어느 정도까지 정치적 역량을 보일지 기대되는 AOC의 미래행보를 보면서 이 책의 예상과 맞춰보면 흥미로울 것 같다.


기존의 정치지형에 현재 잘 맞지 않는 것은 우리나라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1~2달 전 출간된 추월의 시대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온 것 같은데, 기성세대가 가지고 있는 이분법적 세계관을 현재의 젊은 세대들은 공감하지 못한다고 하여 우리나라 정치권에서도 새로운 정치지형을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 같은데 마침 30대 당대표 당선이라는  비슷한 사건이 발생하는 것 같아 앞으로의 정치지형이 무척 흥미로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