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시대의 질문력,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류한석 지음 / 코리아닷컴(Korea.com) / 2025년 8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AI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더 이상 이 분야 공부를 미룰 수 없다는 생각으로 공부를 시작하였는데, 실제 업무에서 AI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질문을 잘하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동안 얻은 지식을 바탕으로 하면, AI에게 질문을 할 때 인격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페르소나를 부여하는 것과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한 번에 얻는 것보다 단계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문장을 더 쓰면 훨씬 좋은 답변을 얻을 수 있다는 정도를 알게 되었다.
그 동안에 나온 이 분야의 책을 보면 비슷한 수준의 질문(프롬프트)를 여러 가지 분야에 걸쳐 적용하는 사례 중심의 내용이 많아 생각보다는 실제 업무에 도움을 내용은 많지 않았다. 이번 읽은 ‘AI시대의 질문력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그 동안 본 내용을 훨씬 넘어서는 매우 유용한 질문 방법이 담겨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이 과거에 학습한 내용을 정보로 답변하여 최신의 정보를 활용할 수 없었던 약점이 있었던 것에 비해 최신 AI는 정보를 검색하여 자신의 지식을 보강하는 RAG(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을 활용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생성형 AI의 페르소나를 하나가 아닌 다중으로 구성하여 대립되는 입장을 상호절충하는 사례 등이 소개되었다. 더욱 신기한 것은 페르소나를 제시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하는 단계에서 스스로 문제가 될 점을 파악하여 보완하도록 요청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과거에 기업 등에서 연구된 문제해결을 위한 개발된 다양한 전략과 닮은 프롬프트를 개발하는 방법론 등도 3장에 소개되었다. 예를 들면 5W1H, CO-STAR, FOCUS, ROSES, RISEN, BAB 프레임워크 등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놀라운 점은 신뢰도 임계값을 제시하여 AI의 답변(판단)에 대해 조정이 가능하다는 점이고, 적절한 숫자를 제시하면 AI의 약점이라고 이야기되는 거짓 정보를 제시하는 환각 현상도 어느 정도 피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점이다.
이 책에 이야기 되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현재 과도기에만 적용되는 내용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AI가 조금만 더 발전하여 이 책에 사용한 여러 가지 프롬프트를 AI가 스스로 문제해결에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도 멀지 않았다고 생각되기 떄문이다. 하지만 현단계에서 AI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부해야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또한, 이 책에 소개된 다양한 프롬프트를 만드는 전략을 일상의 생활에서 사람이 생각하는 방법에도 적용해보는 것도 시도해볼 만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