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용어 바로쓰기
박명림, 서중석 외 지음 / 역사비평사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럽인은 지중해 동부 연안 지역을 자기네와 가까운 지역이란 의미에서 근동(Near East)이라 불렀고, 자기들과 가장 멀리 떨어진 동쪽지역을 극동(Far East)이라 불렀다. 근동, 극동이란 말은 철두철미 유럽인의 시각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서쪽에서 동쪽을 대상화, 타자화하여 부르는 이름이다.

 

인터넷 검색창에서 ‘극동’을 입력하고 엔터키를 쳐보자. 극동방송, 극동문제연구소, 극동건설, 극동대학교, 극동해운……. 스스로 주인이 되지 못하는 이름이 지금도 너무나 당당하게 사용되고 있다. 자아정체성, 민족주체성이라곤 찾아보기 힘들다. 언어는 의식을 규정한다고 했건만.

 

한국고대사의 시대구분용어인 ‘삼국시대’란 말도 엄연히 우리 역사의 한 축을 담당했던 가야의 존재를 무시한다는 점에서 심각한 역사왜곡이다. ‘사국시대’로 불러야 할 것이다. ‘통일신라시대’도 마찬가지다. 발해도 엄연히 우리 역사인 만큼, 통일신라와 발해를 아우르는 ‘남북국시대’로 고쳐 쓰는 것이 사리에 맞는다.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역사왜곡이 뜨거운 이슈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은 먼저 우리 안을 들여다볼 일이라고 주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