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목을 친 남자 - 프랑스혁명의 두 얼굴, 사형집행인의 고백
아다치 마사카쓰 지음, 최재혁 옮김 / 한권의책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프랑스혁명에 다가서는 방법에는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자전거도로, 골목길 등등 다양한 길이 있을 겁니다. 이 책은 눈에 잘 띄지 않는 골목길을 걷듯이 프랑스혁명의 실체로 이끌어주는군요. 역사적 실존인물인 사형집행인 샤를 앙리 상송(1739-1806)에 관한 ‘소설’입니다. 하지만 사료들을 충실히 소화했기에 역사적 근거는 넉넉합니다. 읽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주인공의 생몰 연대를 보셨다면 벌써 눈치 채셨지요? 맞습니다. 1793년 1월 21일 루이 16세를 처형한 바로 그 사형집행인입니다. 당시 54세였군요. 사형집행인이 처한 사회적 지위와 딜레마를 꼼꼼하게 짚어주고 있는 책입니다.


일본에는 서양 역사를 이렇게 흥미로운 필치로 서술하는 작가들이 많아서 부럽습니다. 저도 이런 글 쓰고 싶은데 작가적인 재능이 없어서 실망입니다. 작가는 도쿄대학 불문과 출신이고, 역자는 사학과 출신입니다. 본문에서 인용합니다.

“혁명이 일어나기 전에는 같은 죄목으로 사형판결을 받는다고 해도 귀족이라면 참수, 일반 서민은 교수형을 받는 등 신분에 따라 처형방법이 달랐다. 이는 법률에서 보장하는 평등의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었다. 기요틴은 법으로 인간의 평등이 선언된 이상 신분의 높고 낮음을 불문하고 처형방법이 동일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했다.

사형 방법은 평등해야 한다.→ 인권을 존중하는 새로운 시대에는 야만스럽고 잔혹했던 과거의 처형방법을 인도적인 방식으로 개선해야 한다.→ 사형수의 고통을 최소화하면서도 신속히 죽음에 이르게 하는 인도적 처형방법은 목을 절단하는 것이다.→ 검을 사용하여 참수하면 실패할 확률이 높도, 단칼에 목을 베지 못할 경우 사형수의 고통이 더욱 커진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계로 확실히 절단해야 한다.→ 목을 절단하는 기계, 즉 기요틴이 고안된다.

기요틴은 순식간에 죄수의 목을 절단하는 장치이며, 목이 잘리는 순간 다량의 피가 분출한다. 현대인의 눈으로 보았을 때 기요틴은 더없이 잔혹하게 보일 테지만, 이 처형 기구를 구상한 사람들의 의도는 어디까지나 인도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