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코의 미소
최은영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타자의 고통에 대한 접근법에 대한 문제를 다루고 있다. (동정, 연민, 동감, 통감..)
고통받는 타자가 자기 외의 고통받는 타자에게 다가섬으로써 어떻게 다른 사람이 되어가는가. 뒤늦은 후회와 그 후회를 갚아가면서 성립되는 관계들. 혹은 끝내 성립되지 못하였던 관계에 대한 애도사.
한국문학의 '단편'이라는 형식의 특수성(이라 쓰고 한계라고 읽는다)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다. 한 인간의 내면의 결을 붙잡아 내기에 한국문학 특유의 '단편'은 분량이나 현재까지 고정되어온 스타일에 있어 뭔가 부족함을 느끼게 한다. 만족스럽지가 못하다. 어쩌면 이 소설이 가지고 있는 '착함'에 대한 나의 거부감이 '형식'에 대한 불만족으로 표출되고 있는지도 모르겠지만.
충분히 좋은 소설집임에도, 그렇다는 것은, 이 작가에게 장편을 기대해서인가.
<쇼코의 미소>는 캐릭터 설정에서부터 치밀하게 잘 짜여졌다고 생각했고 특히 주인공 소유의 '할아버지'가 인상적이었다. 이런 식의 캐릭터는 그다지 등장한 적이 없지만 충분히 나왔어야 하는 인물이었다는 점에서.
<씬짜오, 씬자오>는 배경이 독일이면서 베트남 전쟁 이야기를 하고, 그러면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역할 뒤바뀜에 대해 '독일'에서 말한다는 것이 이 작가의 영리함을 돋보이게 하였다. 위안부 할머니들이 베트남 전쟁 피해자들과 만났다는 기사가 생각났다. 고정된 피해자, 가해자는 없다. 그것을 만들어내는 구조 안에 우리가 살아가고 있다는 데서 함께 느껴야 하는 '죄책감'의 성격은 무엇일까를 생각했다. 내가 저지른 죄가 아님에도 죄를 나누어서 살아가는 존재로서의 '우리'.
<언니, 나의 작은, 순애 언니>에서는 채만식의 <치숙>에서 느꼈던 무력한 남성지식인(과거이자 현재로서의 '운동권')에 대한 복잡한 내면풍경을 담고 있다. 아내의 등골을 빼먹고 사는 남성지식인에 대한 평가는 채만식의 소설만큼 연민이 담겨 있지는 않다. 그럼에도 과거에 그래왔듯이 신화화하지도, 그렇다고 요즘의 정서와 부합(?)하는 식으로 비난 일색이지도 않다. 서술자의 엄마가 계속 부채감에 시달리다가 마지막에 '용서'(?)를 받는다는 식의 설정에 대해서는 어쩐지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있어서...
<한지와 영주> '단순함'이라 쓰고 '무신경함'이라 읽는다. 이 '무신경함'에 대해 <씬짜오, 씬짜오>의 일구절을 빌려서 말하자면 '몰라서 미안해'라고 할 수 있을까. 칸트가 생각난다. 모르는 것도 죄라고 했던. 여기서 알고 모르고의 차원이 '지식'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은 당연한 것. 죄인지 모르고 저질러놓고(말해놓고) 나중에 생각해보니 죄였다는 것은 <쇼코의 미소>에서도 반복되는 인식의 구조.
<먼 곳에서 온 노래> 내가 이 책의 편집자였다면 이 소설의 제목은 다른 것으로 바꾸었을 것이다. '운동권'에 대한 반감은 이 소설에서는 다소 노골화된다. 엄밀히 말하면 '운동권'입내 하면서 20대 개새끼론을 펼치는 기득권 386에 대한 분노와 염증이겠으나. 후련하면서도, 소설에 등장하는 '미진'역시 지나치게 전형화되었다는 느낌이..
<미카엘라>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를 좋아하지 않는 나로서는 이 소설에 재현되는 '엄마'의 전형성이 썩 마음에 들지는 않는다. 재현이 그저 현실의 '반영' 뿐은 아니라고 한다면 이러한 '엄마'의 전형성은 이제 그만 나올때도 되지 않았을까. <쇼코의 미소>의 '할아버지'에게서 다소간이라도 느꼈던 신선함이 다른 소설에서도 발견될 수 있었으면 싶다.
<비밀> 뭐가 '비밀'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