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을 가장 좋아한다고 말하던 선배가 있었다. 11월이 되면 어쩐지 긴장하게 되는 느낌이 좋다고 그는 뿌듯한 듯이 말했었다. 무슨 의미인지도 모르고 그저 참 멋있다고 생각했던 나는 십년이 더 지난 지금까지도 그 말을 잊지 않고 있다. 11월이 주는 긴장감이라는 것은 아마 아무리 해도 돌이킬 수 없는 시간의 불가역성을 즐길 수 있는 경지를 말하는 것 같다. 세상에 어쩔 수 없는 일들이 있다는 것을 농담을 던지듯 한 차원 높은 경지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된다는 것. 올해 나는 한 친구 덕에 그 감각을 어렴풋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나의 이십대를 함께 보낸 사람이었고 주위 사람들에게 언제나 유쾌한 웃음을 주던 철없는 어른이었다. 세월호가 일어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그의 쩌렁쩌렁한 목소리와 호탕한 웃음소리를 더 이상 들을 수 없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가혹한 봄이었다. 아무리 현실을 부정하려고 해도 그럴 수 없다는 것을 수용할 줄 아는 것이 어른의 자세라는 것을, 나는 배우고 싶지 않았음에도 어쩔 수 없이 배워야 했다.

  

정확히는 배우고 싶지 않았음에도 배우려 했지만, 그게 잘 되지가 않았다. 대신 자신에게 너무나 의미 있는 것들이 누군가에게는 아무 것도 아닌 하찮은 것일 뿐이라는 것이 얼마나 큰 절망을 주는지를 배웠다. 그렇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하찮아 보이는 것들을 나 역시 무의미한 것으로 취급해서는 안 된다는 걸 결코 잊지 않으려고 했다. 기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것은 일방적인 무의미의 강요에 다름 아니지 않은가. 세월호를 교통사고나 보상금문제로 축소하려는 데서 우리는 그러한 폭력을 마주한다. 죽어라 일한다고 해도 정규직이 되지 못하는 600만 비정규직에게 노동은 무의미한 것이 되어간다. 시간강사는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를, 지옥 같은 입시를 통과하자마자 취업준비생 취급을 받는 대학생들은 배우는 것의 의미를 빼앗겨버린다.

함부로 존재 이유를 부정당한 이들은 말할 기회조차 잃어버린다. 끊임없이 누군가의 삶을 ‘무효’로 만들어버리려는 것이 이 시대의 시대정신인 것만 같다. 그렇다면 우리 사회의 진정한 문제는 안전 불감증이 아닐지도 모른다. 무의미를 강요함으로써 무책임에 대한 면죄부를 얻어내려는 것은 아닌가. 대의가 옹호되던 시대는 지나갔다. 전태일이라는 한 청년의 죽음에 비해 쌍용차 노동자들의 죽음은 얼마나 푸대접을 받고 있는가. 옳은 것을 위해 목숨을 바칠 수 있다는 이념은 이제 낡은 것이 되어 버렸다. 하지만 의미를 발견하려 했던, 이제는 폐기처분된 낡은 가치 앞에 남은 건 무엇인가. 그저 살아남기 위해 의미 없이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는 것 같다는 공허함은 아닌가.

다시 11월이다. 아니, 11월도 이제 다 지나갔지만 그래도 괜찮다.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어쩔 수 없는 일들에 지치거나 그 세상의 높은 벽 앞에 무너지지 않기 위해서는 그 무의미마저도 사랑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인지 모른다. 하찮아 보이는 일상에 대한 무한한 애정과 절망조차도 농담처럼 넘길 수 있는 여유가 우리에겐 절실하다. 지치면 지는 거니까, 그래서 세상은 자꾸만 무의미를 강요하며 우리를 지치게 만드는 것이니 말이다.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은 그를 위해 목숨을 바친다는 것이 아니라 내가 너무나도 사랑하는 그를 위해 내가 가장 참을 수 없는 것, 그러니까 그 없이도 이 삶을 즐겁게 살아나갈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것은 아닐까. 그러니 즐겁게, 2014년을 보내주자. 우리는 2015년에도 함께 할 테니.

2014.11.23 대학신문

http://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4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