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부터 강렬하다. 정신없이 돌아가는 미러볼, 음악, 그리고 색채가 나를 압도한다. 줄거리 역시 그것을 이어받는다. 제인이 약을 먹고 손님들에게 노래하는 모습에서 조정환에서 제인으로의 또 다른 페르소나는 힘들고 지쳐도 약을 먹고 마치 다른 사람인 것처럼 일터로 나가는 현실 속 우리의 모습과 같다. 처음부터 거짓으로 태어났다는 트랜스젠더인 제인은 불행하게 오래오래 살자고 한다. 하지만 그녀는 짧고 강하게 살았다.

제인이 죽은 뒤 모두가 집을 떠날 때 주인공이 제인이 앉았던 자리에 큰 쿠션을 올려놓은 것은 제인이 아직도 거기에 있다는 것, 제인을 영원히 그 자리에서 기억하고자하는 남겨진 사람들의 애도방식인 것 같다. 영업장에 아이들을 불러 제인과 그들이 달을 보며 오라이하며 달을 불러 달에게 오라고 하는 것은 잡을 수 없는 달처럼 이룰 수 없는 꿈을 의미하는 것 같다. 그렇다면 제인은 왜 소현과 다른 아이에게도 달을 부르라고 했을까.

시간이 흘러 소현의 상실감과 외로움은 지수로 향한다. 정호 오빠, 제인에 이어 지수까지 소현의 외로움을 채워주는 상대는 사라지거나 자살한다. 지수도 죽고 팸의 아빠라고 불리는 남자도 죽임을 당하고 선하건 악하건 모두가 죽는다. 소현은 누군가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누군가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한다. 그녀는 외롭다. 지수의 친구에게 자신이 지수라고 하며 거짓을 이야기한 것도 사람이 그리워서 혼자 남겨지는 것이 두렵기 때문이다. 그렇게라도 사람과 섞이고 정을 붙잡고 싶었나 보다.

이 영화는 어디가 현실이고 어디가 꿈인지 애매하다. 제인과 지수가 자살하고 땅에 묻는 담요가 동일한 것으로 나온다. 소현의 행복한 꿈에 등장하는 두 인물은 동일인물일수도 있다. 꿈은 꿈이니까. <꿈의 제인>은 영화 <아바타>에 나오는 걷지 못하는 주인공이 가상현실, 즉 꿈의 세상에서 전사로 영웅 놀이를 하는 것처럼, 소현에게 제인과 지수와 함께한 행복한 시간은 찰나처럼 꿈에서만 가능하고 현실은 그녀가 받은 도장처럼 UNHAPPY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ll We Had (Paperback)
Weatherwax, Annie / Scribner Book Company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해보려고 했는데, 좋은 사람만나서 정착하고 싶었는데 상대는 늘 놀이상대였다. 평행선 사랑도 마음이 아프지만 교차된 사랑도 마음 아프기는 매한가지인 그녀에게도 여러 남자들은 어긋난 사랑이었다. 이것은 All we had(2013)의 여주인공의 이야기이다. 미국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인 경제위기 당시 직장과 집에서 쫓겨난 후 보스턴으로 행하던 중 음식 값을 내지 못하고 도망치다 차가 고장 나서 어쩔 수 없이 미국 오하이오주 그랜드 리버 작은 마을 식당에서 일하며 갑자기 이곳에 정착하게 되는 싱글맘과 13살 딸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떠돌이 생활에서 발 뻗고 잘 수 있는 공간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들은 잠잘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꿈도 꿀 수 있는 거야라며 행복해한다. 그곳에서 부동산 중개인과 만나 집도 사고 딸은 학교도 다니며 인간다운 삶을 하던 중, 서브프라임 사태는 작은 마을까지 영향을 미쳐 결국 식당은 문을 닫고 부동산을 휴지조각이 되어 다시 길거리로 나앉게 된다. 경제위기의 사태는 많은 사람들 직업을 앗아갔고 대량의 실업자를 만들었다.

절망에 빠진 그녀가 지나가다 우연히 본 인생은 사다리다. 한걸음 내딜 때마다 올라가거나 내려간다라는 문구를 보고 주인공은 다시 희망을 꿈꾼다. 그 희망이 찰나일지라도. 그녀에게는 남자도 돈도 희망도 모든 것이 너무나 어렵다. 하지만 이것은 현실이다.

지극히 현실적이고 가능한 불행한 이야기는 주인공의 성격도 바꿔놓는다. 인생에서 돈은 중요한 요소이고 싱글맘에게 남자 역시 중요하다. 영화가 끝날 때 나온 남자는 그녀에게 정상적인 좋은 사람으로 함께하기를 희망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평등과 싸우는 여성 대법관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조너 윈터 지음, 스테이시 이너스트 그림, 차익종 옮김 / 두레아이들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스 긴즈버그의 실화를 다룬 영화. <세상을 바꾼 변호사>

<on the basis sex> 영어제목을 보고 처음에 갸우뚱했다. gender가 아니라 sex라고 썼지? 물론 영화 중간에 gender라고 바꾸고 루스 긴즈버그는 이 단어를 처음 사용한 사람이기도 하다.

노모를 부양하는 남자는 정부지원을 받지 못하고 세금을 내야하는 한다는 법에 대한 역차별을 받은 모리스의 변호를 맡으며, 사회와 제도의 부당함과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의 문제에 대해 긴즈버그는 강조한다. 여성은 집안일을 하고 가정을 부양하는 일을 해야 하고, 그것이 만년이상 당연시 되어왔다고 주장하는 판사들. 1970년까지 미국연방법에서 남녀가 여전히 차별을 받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여성평등을 주장하지만 이 영화에서 다룬 사건은 남성 역차별이다. 남녀에게 다르게 적용되는 법에 대해 남자가 차별을 당한다는 기존 여성의 불평등을 주장했던 영화와는 초점을 다르게 접근하고 있다. 이 영화는 문제의 본질과 그것을 해결해나가는 과정에 대해 법에 대해 세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녀의 딸의 기성세대와는 다른 시각을 느낀 긴즈버그는 잘못된 법과 제도의 선례를 답습하지 않기 위해서 제도에 도전한다.

잘못된 법은 고쳐져야 하고, 새로운 법이 제정되어야 한다. 불평등한 사회의 잘못된 제도에 대해 작은 목소리라도 내야 되는 것이다. 그런 목소리들이 쌓이고 쌓여 모두의 필요에 의해 법이 제정되는 것이다. 그것은 쉬운 여정을 아닐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미래를 위해, 다음 세대에서는 불평등에 차별 없는 그런 세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통과의례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