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리버 트위스트 1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51
찰스 디킨스 지음, 이인규 옮김 / 민음사 / 2018년 4월
평점 :
7월 한달의 방학은 정말 방학이었다. 별로
내세울 것도 없이 특별히 한 것도 없지만 그냥 글자 그대로 여름방학이었다. 나에게는 이런 시간이 필요해. 그리고 8월이 되었다. 시간은
내가 마음의 준비도 하기전에 저만치 가버렸다.
1837년에 출판된 찰스 디킨스의 소설 《올리버 트위스트》는 고아로 태어난 올리버라는 소년으로 런던 슬럼가에서 고생하다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는 드라마에서 늘 단골소재로 사용되는 이야기이다. 스토리는 권선징악, 교훈적 이야기지만, 이 소설을 영국 산업혁명
시대 어린아이들을 공장에서 일을 시키고 소매치기를 하는 뒷 골목의 불쌍한 아이들이 있는 도시 빈민지역을 배경으로 한다. 중하류 집안출신으로 고생한 디킨스의 어린시절을 소재로 가져와 귀족이나 상류층이 아닌 변두리에 머물던 빈민층을
소설의 중심으로 가져온것이다.
고아원에서 배고파 죽을 한 그릇 더 달라는 올리버의 요청은 구빈원관리들의 경제철학에 대한 도전이다. 이 사건으로 올리버는 고아원에서 쫓겨나고 소매치기를 시키는 무리로 들어간다.
그 이후 고생하다 신사를 만나 자신의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고 인생 역전한다는 클리셰가 있지만, 결국은
유산상속 때문에 일어나는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보인 권선징악 스토리와 도덕적 교훈과 주제를 담고 있는 작품이다.
1834년에 영국은 1795년 이후
시행되어 오던 구빈법(The Poor Law)을 새로 개정한다. 이것은
벤담(Jeremy Bentham)과 맬서스(Thomas
Malthus) 사상을 그리워하는 공리주의(utilitarianism) 사상가들이었다. 그들은 신구빈법을 제정하고, 빈민의 인구를 최소화하고, 빈민의 노동을 최대한 만들어내어 빈민구제에 드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자는 것이다. 이 법은 비인간적이었고, 이로 인해 행정관리들의 부패는 더 심해졌다. 이런 사회의 부조리에 대해 디킨스는 구빈원관리에 대해 신구빈법의 실상을 아이러니와 풍자로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