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 - 전2권 세트
황석영 지음 / 문학동네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황석영의 소설을 읽는 것은 기쁨이면서 고통이다. 마치 잘 벼루어진 끌이나 대패로 미끈하게 다듬어 놓은 얼개와 짜임을 만나는 것이 기쁨이라면, 그것들이 냉혹할 만큼 사실적으로 저며내는 이 땅의 사람살이의 모습들은 둔감해진 정수리를 날카롭게 베는 듯한 고통으로 다가온다. 70년대 이후 내내 진보적 문학 진영을 짓눌렀던 화두였던 ‘리얼리즘’을 황석영만큼 건조하게 천착해 온 작가가 또 있을까.

파란과 격동의 20세기말의 문학적 연대기인 <오래된 정원>을 거쳐 이데올르기의 광기와 그 덫에 걸린 한 시대를 조감한 <손님>을 거쳐 그는 이제 고대사회의 인신공희(人身供犧)라는 제의적 공간과 불교적 환생의 세계에 침잠해 있던 심청을 냉혹한 근대화 시대의 저잣거리로 끌어낸 듯하다.

이 소설이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본격화와 서양의 동양 침탈 과정에서 한 여인의 몸에 새겨진 폭력의 역사'(경향신문)라는 평가는 정당하면서도 '시정 잡배들 삶의 자상한 기록'이라는 작가의 발언 쪽에 나는 조금 더 기울어진다. 그건 '아편전쟁이나 태평천국' 등의 역사를 '작은 우레 소리처럼 다루었다'고 고백하는 작가의 정서와 다르지 않다.

심청은 박제되어 버린 효녀가 아니라, 역사의 격랑 속에서 비로소 자기 삶의 주재자로, 질긴 여성성으로 부활한다. 렌화에서 로터스, 류큐의 시조쿠 부인과 렌카를 거쳐 마침내 고향 황주의 절에서 찾아온 자신의 위패로 돌아온 그녀의 미소는 '실컷 울고 난 사람의 웃음'처럼 희미하다. 그러나 파란 많은 그녀의 삶을 관통하고 있는 것은 고통과 절망, 슬픔과 분노가 아니라, 그것을 자기 삶으로 껴안는 너그러움과 넉넉함이며, 그것이 그녀를 수동적 희생자에서 능동적 삶의 주체로서 우리 앞에 마주 서게 한다. 소설 속에 노골적으로 묘사되는 사랑의 장면들이 음란하다고 느껴지지 않는 것은 그것이 지배와 종속의 관계가 아닌, 상호 동등의 관계로서 이해되기 때문일 것이다.

작가의 심청은 그의 다른 작품들, 이를테면 '삼포 가는 길'의 백화나, '몰개월의 새'의 미자와는 전혀 다른 여인이지만, 한편으로 같은 여인이다. 여덟 명의 군인죄수를 뒷바라지한 백화나 낯선 나라의 전쟁터에서 죽어간 애인들을 위해 몸부림치는 미자의 삶은 또다른 의미에서, 스스로 남자와의 사랑을 선택하고 '지옥 같은 나날이었는데도 남풍 집의 작은 방에서 덧문을 열고 내다보던 배의 등불빛을 잊을 수가 없었다'는 청의 삶과 동질적이다.

기억의 습관은 얼마나 무서운가. '여성과 폭력의 역사'라는 서평 하나만으로도 우리는 일제가 저지른 만행의 역사와 그 뒤켠에서 유린당한 저주스런 여인들의 근대사를 떠올린다. 그러나 이 소설이 가는 길은 그것과는 다른 여정이다. 섣불리 상상하지 말고 서점으로 가실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