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내
마리 다리외세크 지음, 최정수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십여년 전, 사춘기 중학생들의 성에 대한 호기심을 재치있게 다룬 '몽정기'란 영화를 본적이 있다. 마리 다리외세크의 <가시내>는 조금 더 솔직한, 소녀 버전의 몽정기를 연상케 한다. 게다가 소설 속 배경이 한국이 아니라 1980년대, 5월 혁명 후 프랑스이다 보니 더욱 파격적이다.


작가의 소개에 따르면 “당시 80년대는 68혁명이 가져온 성 해방과 나중에 대두할 에이즈의 출현 사이에 끼인 무렵이어서 인류 역사상 성적 자유를 가장 크게 만끽한 시기다. 젊은 여자아이들은 어서 빨리 처녀성을 버려야 한다는 조급증에 시달렸다. 그 아이들이 혼란 속에 성에 대해 경험하고 알아가는 과정을 가능한 한 솔직하게 그리고자 한 작품이 ‘가시내’”라고 한다.


제목부터 과감하다. 원제는 클레브(clèves)라는 극중 가상의 마을인데, 클리토리스와 레브르(lèvre ; 입술, 복수로 쓰일 땐 음순이란 뜻도 있음)의 합성어라며, 작가는 극중 화자인 솔랑주의 입을 빌어 설명한다.
 


책은 3부로 이루어져있다. 1부 '시작하다'에서는 사춘기 소녀가 초경을 시작하면서의 심경변화와 당혹스러움을 그렸고, 2부 '사랑하다'에서는 또래 남자아이들과의 데이트와 첫 경험, 3부 '다시 시작하다'는 성인 남성인 비오츠와의 관계를 다룬다. 이야기 전반에 걸쳐 동급 여학생들끼리 속닥속닥 얕은 성 지식을 공유하는 장면이 여러 번 나온다. 읽으면서 어쩜 이리 성에 대해 무지할까,란 생각이 들 정도로 그녀들에게는 성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가르쳐주는 어른도, 제대로 된 콘텐츠도 없다. (특히 솔랑주가 비오츠와 관계를 갖고 성병에 걸릴 지경에 이르러도 어머니는 무관심했다. 그녀 친구인 로즈 어머니도 눈치챘는데.)


솔랑주는 성기를 뜻하는 정확한 단어도 모른 채 비속어를 사용하고, ‘몸을 활처럼 휘고’, ‘숨을 헐떡거리는’, ‘난폭하게 소유하는’, ‘몸을 꼬며 신음하다’와 같은 주워들은 문장으로 관계를 묘사하며 자신을 성적매력이 넘치는 여성으로 상상한다. 친구들과 비오츠씨 앞에선 성경험이 많은 척 허세를 부리는 모습이 시쳇말로 ‘중2병’ 환자 같아 실소했다.


소설의 첫 장면은 마을 축제에서 만취한 아버지가 꺼낸 성기를 보고 충격을 받은 솔랑주의 기억이었다(그게 솔랑주만의 기억일 수도, 다른 사람들은 다르게 기억할 수 있다는 걸, 독자는 친구 로즈의 말을 통해 뒤늦게 알게 된다). 이와 대비를 이루는 마지막 장면은 실질적으로 아버지를 대신해 그녀를 양육한 비오츠 씨를 배신하고 평생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주는 모습이다. 솔랑주는 그의 사랑(혹은 책임감)을 깨닫고도 그 이상 생각하기를 귀찮아한다.


병문안 가기 꺼려하는 그녀에게 어머니는 ‘꼭 네 아버지 같다’며 혼을 낸다. 누가 뭐래도 아버지가 비행사라 믿고(실은 공항 포터였는데) 자랑스러워하던 그녀는 어쩌면 아버지와 하나가 되고 싶었던 건 아닐까. ​솔랑주의 문제는 부모의 불화와 그녀의 애착 대상인 아버지의 부재가 불러온, 섹스를 통해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하고자 하는 비정상적 자존감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의 직업이 '정신분석가'라지 않나. 그녀는 솔랑주를 통해 이 사회에, 문학에 질문을 던지고 싶었는지 모른다.

문학은 답을 제시한다기 보다는 질문을 던지는 거라고 생각해요. 어쩌면 같은 질문을 계속 던질 수도 있습니다. 다만 세상이 변하고 있기 때문에 같은 질문이라도 맥락은 변하겠죠. 그렇게 함으로써 가장 상투적이고 일방적으로 주어지는 답들에 대한 투쟁을 하는 게 문학이라고 생각합니다. 

ㅡ 저자 인터뷰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