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머 씨 이야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유혜자 옮김, 장 자끄 상뻬 그림 / 열린책들 / 199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중딩때였나 고딩때였나, 개인적으로 굉장히 오래전에 읽은 기억이 있는 책이지만, 분량도 얄팍한것이 공부하기 싫어서-_-v 얼마 전에 한번 더 읽었다. 본서는, 사실 따지고보면 별 내용이 없다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고, 그만큼 서평도 가지각색인것처럼 보이는데, 이 점은 역설적으로 이 소설이-쉽게 읽히는 것은 별개로-만만치 않은 작품임을 반증하는 것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든다.

좀머씨를 모르는 마을 사람들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좀머씨를 확실히 '안다'고 할만한 사람들도 없다. 그의 이름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그가 실종(사실은 사망)된 후 신문에 실린 이름을 보고나 알 정도이며, 그가 이전에 어디서 무엇을 했는지, 왜 그렇게 걸어만 다니는지에 대해서도 사람들은 사실상 '아무런' 관심도 없다. 그는 그저 '타인'으로서 가끔씩 언급될 뿐이고, 종종 일반인과 '다른'사람으로서 그를 사실상 전혀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조롱거리(?)가 될 뿐이다. 이런 상황에서 좀머씨의 일갈 '날 좀 내버려두시오'는 이해가 되고도 남는다. 사실 따지고보면, 우리들 그 누구든 자신을 위해 타인을 이야기할 뿐, 타인을 생각해고 배려해서 타인을 이야기하는 경우는 전무하다고 봐도 무방할테니 말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군집을 이루어 모여 산다고는 하지만, 그 어느때보다 서로서로 고립되어 살아가는 오늘날, 그래서 주인공인 소년이 좀머씨를 대하는 방식은 주목할만하다. 소년은 좀머씨를 그저 '지켜 볼'따름이다. 물론 이것이 과연 '완벽하게' 바람직한 태도냐라는 점에 있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겠지만, 적어도 좀머씨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것과 마찬가지인 상황에서 이러쿵저러쿵 떠드는 어른들에 비해 소년의 순수함은 단연 돋보인다. 우리가 진정 타인을 이해하고, 나아가 타인과 소통하여 조금이라도 더 따뜻한 세상을 만들어나가려면, 그 첫걸음은 타인을 있는 그대로 '지켜 봐'주는 데서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장 자크 상페의 그림이나, 소년에 대한 탁월한 심리묘사(정말이지 이 부분, 특히나 맘에 들었다.)는 소설을 더욱 빛나게 한다. 따지고보면 '성장소설'이라 할만한 이 짧은 작품은, 때문에 정말 따뜻하고, 즐거우면서도, 마음 한켠 깊숙히 무언가를 남기는 뭔가가 있다. 일독을 권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