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켄슈타인
메리 셸리 지음, 오숙은 옮김 / 미래사 / 2002년 8월
평점 :
절판
사실, '프랑켄슈타인'의 원작 소설을 읽은 사람이 드물기도 하거니와, 애초 그게 무슨 내용인지 어렴풋이 아는 사람조차 드물다.(이건 브람 스토커의 드라큘라도 마찬가지다) 메리 셸리의 암울했던 생애만큼이나, 다소 무섭기까지 한 책의 디자인만큼이나, 본 소설이 가지고 있는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어둡다. 개인적으로는 그런 어두움이 굉장히 매력적으로 다가왔지만.
소설은 우리에게 익히 알려진 통념대로 과학이나 괴물과 관련된 소설이 아니다. 물론, 이 소설이 쓰여지던 시기 자체가 한창 과학의 빛이 파도처럼 밀려오던 시기였던지라, 당대사람들의 과학에 대한 경이를 띤 시각이 가끔씩 엿보이긴 하지마는, 기본적으로 본 소설에선 프랑켄슈타인을 만드는 방법(?)이나, 그의 외모에 대한 묘사, 살해와 관련된 잔인한 표현같은 것 자체가 전무하다. 메리 셸리는 이런 부분을 거의 의도적으로 그냥 넘어간다.
외려 내 시각에 이 소설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소설로 보였다. 작품 속에서 굉장히 친절하고, 인덕 있고, 기품있게 묘사되는 프랑켄슈타인 박사가 오로지 단 한푼의 관용도 배풀지 않는 대상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자신의 손으로 왜곡시킨 단 하나의 생명(그에게는 이름조차 없다)뿐이다. 산에서 자신이 창조한 괴물과 마주치자마자 저주스러운 말들을 내뱉는 프랑켄슈타인박사에게 그 괴물은 오죽하면 이런 말을 다 할까. "다른사람한테는 잘해주면서 나만 짙밟지 말아주시오,"라고.
괴물은 결국 프랑켄슈타인 박사가 죽자 자신의 존재의의를 잃고 자살한다. 인간이 없으면 자연이란 개념도 없음을 상징하는 것일까? 결국 인간이 왜곡시킨 자연은 인간이 치유할 수 있을 뿐이라는 것을. 그것은 자연 뿐 아닌 인간을 위하는 길이라는 것을. 이 소설은 그런 것을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아니었을까.
마지막 부분에서의 프랑켄슈타인박사의 오락가락하는 발언(위험을 무릅쓰고 모험을 감행하라고 했다가, 새로운 도전이 부른 파멸을 후회했다가)을 보면 저자인 셸리 또한 미래로의 발전적 해결이 아닌, 과거로의 회귀를 통한 복고적이고 보수적인 해결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닌가하는 의심은 들지만, 전체적으로는 기대 이상으로 괜찮은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