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몰랐던 아시아
아시아네트워크 엮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는 아시아를 모른다. 세계 풍물기행류의 프로그램에서 아시아를 보면, 외려 서양보다 더 이국적으로 느끼는 것이 오늘날 우리의 정서다. 중국이나 인도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그 나라의 언론이나 싸이트를 찾기보단 미국 언론사의 관련기사를 검색하고, 전쟁이 나고 있는 이라크 민중의 반응을 알기위해 중동 언론을 찾기보단 자연스레 CNN싸이트에 접속하며, 저 머나먼 이국 땅의 수도나 사회 체제, 역사는 줄줄 꿰도 당장 요 앞 인도네시아 인구가 세계 몇위인지조차 잘 모르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물론, 아시아도 우리를 모르는 것이 사실이다.
가장 많은 인구가 서로 부대끼며 살면서도 이처럼 정서적으로 서로서로 고립되어 있는 아시아는, 때문에 역사적으로 수도없이 '당하기만' 해왔고, 이러한 문제의식의 기반하에 아시아의 몇몇 기자들이 모여, '아시아의 눈으로 아시아를 보자'는 취지로 '아시아네트워크'라는 조직을 창설했다. 이 책은 그러한 아시아네트워크가 그동안 공동으로 소통해 온 작지만 소중한 결과물이다.
책은 그렇게 깊이 들어가지 않는다. 하지만, 나에게는 전부 새로운 이야기들 뿐이었다. 사실, 우리네 현실상 더 깊게 들어갔다가는 도저히 읽을수 없는 책이 되어 나왔으리라. 쉽게 쉽게 읽히지만 그만큼이나 그간의 나의 무지가 한심스럽게 느껴졌다. 이 가까운 곳에, 이렇게 역동적이고, 이렇게 다사다난한 역사를 지닌 민중들이 생활해오고 있었다니. 마지막, 특별기고로 수록된 전 버마학생민주전선 의장 나잉옹, 혁명가에서 동티모르 대통령으로 변신한 사나나 구스마오, 얼마 전 사망한 하마스의 지도자 야신의 글들 또한 대단히 감동적이었다.
이 책은 아시아가 아시아의 눈으로 스스로를 바라보는 그 첫걸음일 뿐이다. 사실, 솔직히 말하자면 미약한 것도 사실이다.(하지만 현재 우리의 현실에선 차고 남는 것도 현실이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아시아의 비극이고) 이 기획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앞으로도 좋은 간행물들이 계속 출간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