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광하는 스포츠 은폐된 이데올로기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77
정준영 지음 / 책세상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저자의 선배가 미국에서 겪었다는 이야기. 유학생 신입생 환영회에서 저자의 선배가 자기소개를 하면서 '스포츠 사회학'을 전공하겠다고 하자 좌중에 앉아있던 사람들의 입가에 이상야릇한 미소가 흘렀다. 그리고 다음 사람이 일어나 이야기 했다한다. 자신은 '진짜'사회학을 공부하기 위해 왔노라고.

우리나라의 스포츠 자체가 독재 정권의 우민화 정책의 일환으로 도입되었다는 시원적 측면에서의 원인도 있겠지마는, 세계적으로도 스포츠가 사회학 연구의 대상이 된 역사는 그리 길지 않아보인다. 심지어 프로스포츠의 천국이라는 미국에서마저도 스포츠를 사회학의 연구대상으로 삼아 온 기간이 얼마 되지 않는다고 하니. 하지만, 우리는 어떤 식으로건 스포츠를 즐기고 있으며 스포츠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다. 그렇다고 스포츠가 사회과학적 분석이 필요없을 정도로 순수한 것인가하면 이 또한 아니다. 우리는 누가 시키지 않아도 목숨걸고(진짜로!)조깅을 하고, 억대 연봉의 스포츠 선수 이야기에는 경제효과 얼마라는 식의 담론이 항상 따라온다는 것만 봐도 그러한 사실을 쉽게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아차, 지난 2002 대선의 소위 '정풍'도 빼 놓을 수 없겠군-_-;;;

저자는 이처럼 '순수하지 않은'스포츠의 의미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한다. 스포츠는 모든 사회 요소들과 연관이 있으며, 이러한 연관 속에서 스포츠는 자연스레 사회의 지배적 가치들을 훈육시키는 도구로 쓰여지기도 한다. 본서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저자의 '중산층과 마라톤'분석인데 저자는 중산층이 왜 마라톤을 하기 시작하였는가를 주로 부르디외의 이론을 이용하면서도 부르디외의 이론을 기계적으로 답습하여 적용하는 것이 아닌, 한단계 창조적으로 발전시켜 적용하고 있다. 이를테면, 부르디외라면 어떤 계급이 어떠한 스포츠를 즐긴다는 측면에만 주목하지만, 저자는 스포츠 분석에 있어 그 계급이 선택한 스포츠가 왜 하필 그것인가까지 주목하여 분석하고 있다.

일반적인 사회학 연구문헌을 읽을 경우 수없이 볼 수있는 관련자료나 참고문헌보다는 저자의 경험담이 종종 주된 근거로 등장한다는 점을 볼 때, 아직 우리나라에서건 해외에서건 스포츠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것 같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하지만 스포츠는 그 자체로서 충분히 수없이 많은 의미들을 담고 있기에 오늘날 빠뜨릴 수 없는 연구대상의 하나이다. 갖가지 의미로 충만한 스포츠, 그 스포츠를 '제대로' 보기 원하는 독자라면 한번쯤 읽어보는 것이 좋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