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와 진리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39
김선욱 지음 / 책세상 / 2001년 5월
평점 :
절판


정치는 진리를 추구하는 영역인가?에 대한 질문에 저자는 강하게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고, 이는 인간이 끊임없이 정치행위를 해 나가는 동물이란 이야기인데, 진리를 추구한다는 것은 정치를 단순히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써 대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즉, 정치란 옳고 그름의 진리를 추구하는 영역이 아닌, 끊임없는 대화가 있는 공간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의문점 하나. 사회에는 어떻게건 해결'하여야'하는 문제들이 존재한다. 평화라는 것, 빈곤에서 해방되어야 한다는 것 등등은 우리모두가 해결하여야 하는 문제이다. 이처럼 해결되어야 함이 자명한 문제를 저자는 '사회문제'라 하여 정치문제와 구별하고 있다. 즉, 강에 다리를 놓는 문제는 사회문제이지만, 어디에 놓느냐는 문제는 정치문제라는 것이다. 공정한 분배는 사회문제이지만, 현실적으로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 나아가 어떠한 것이 '공정'한 분배인지를 논하는 것이 정치문제라고 볼 수 있겠다.

그렇다면 이어지는 의문점 하나, 옳고 그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러한 정치의 영역이 상대주의의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저자는 이 부분에 대하여 '상대주의를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언급하기는 하지만, 구체적으로 그렇다면 어떻게해야 상대주의의 함정에 빠지지 않을 수 있는가를 서술하고 있지 않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개인적으로 다소 불만족스러웠던 것이 사실이다.

어쨌건 그러한 의문에도 불구하고 저자의 이러한 주장은, 오늘날 다원성이 부족한 우리 사회에서 상당히 중요해 보인다. 정치싸움 집어치우고 경제나 챙기라는 둥, 이념투쟁 그만두고 국민통합으로 가자는 둥의 발언은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여러 정치 계층과 계급을 배제하는 동학으로 이어진다.(사실 이런식의 담론을 주장하는 자들을 보면, 하나같이 극우 보수적이거나 무관심-사실, 무관심이야말로 정치에 관한한 가장 보수적인 반응이다-성향을 갖는 사람들이 많다. 즉 이들은 기본적으로 민주주의 자체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다. 한마디로 '반정치적'인 것이다) 정치는 끊임없는 대화의 장이라는 것. 교조적인 진리를 내세우며 상대를 배제하는 장이 아니라는 것을 역설하는 것만으로도 오늘날, 이 책이 우리 사회에 갖는 의미는 충만해 보인다.

ps.저자는 이 책에서 아렌트의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이러한 주장을 펼쳤다고 한다. 아울러 하버마스의 영향도 받기는 했지만, 둘 중에 한편을 든다면 저자는 아렌트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고도 한다. 문제는 나의 아렌트에 대한 지식이 일천하다는 것. 도대체, 하버마스의 주장과 아렌트의 주장을 등에 업었다는(?)저자의 주장 간에 차이가 뭐지? 시종일관 들었던 의문이었다. 즉, 기회가 닿으면 하버마스의 정치사상과 함께 아렌트의 정치사상도 공부(?)해 봐야겠다는 동기마저 갖게 해준 책 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