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란 무엇인가 ㅣ 까치글방 133
E.H. 카 지음, 김택현 옮김 / 까치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교과서에 나오는 고전'에 대한 나의 지독한 편견-즉, 굉장히 재미없고, 굉장히 보수적이며, 굉장히 뻔한 얘기들 뿐이라는-은 이책을 만나기까지 수년의 세월을 걸리게 했다. 뒤늦게나마 다 읽고 생각한 것은 너무 늦게 만났다라는 아쉬움과 후회, 그래도 지금에나마 읽었으니 다행이라는 안도감 뭐 이정도?
이 책은 오로지 역사학도들만을 위한 책이 아니다. 균형잡힌 시각을 잡아주기 이전에 그 균형잡힌 시각이란 과연 무엇인가를 해명해주는, 때문에 그저 기계적 중립성의 함정에 빠져 스스로가 굉장히 공정하다고 착각하는(그래서 그 '공정함'이란 '중립'이 아닌 '올바름'이란 것을 쉽게 잊곤하는) 우리들 모두를 위한 책이 아닐까 싶다.
제도권 교육의 교과서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와의 대화'라는 단 한 줄의 문장에 이 좋은 책을 '구겨넣는' 야만을 저질렀지만, 본서는 그렇게 한문장으로 정의될 수 있는 책이 아니다. 역사를 바라봄에 있어 올바른, 균형잡힌, 그러면서도 생동감있는 시각을 가지기 위해선 어떻게 역사를 바라보아야하느냐에 대한 너무도 중요하고 너무도 소중한 내용들이 주리줄창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속에는 어쨌건 변화의 가능성을 낙관하려는 저자의 '의지로 하는 낙관'이 짖게 베어 있다. 그래서 그 점이 이책을 너무도 따뜻하게 만든다.
물론, '후세의 사람들이 더 정확한 역사를 본다'는 식의 표현은 다소 동의하기 힘들었다.('정확한'역사를 보기보다는 '자신의 시대에 맞는 역사를 본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누구나 빠지고, 빠지고 싶어하는 객관성의 함정을 극복하고, 그 가운데 변혁으로의 걸음을 내딛어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은 너무도 멋있고, 동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사실, 이런 책은 대학 입학전에 봤어야 하지 않았나 싶다. 이 책을 대학입학전에 봤다면, 적어도 조금 더 겸허한 마음으로 대학 생활을 시작할 수 있지 않았을까.
ps.확실히 영국인들의 유머감각은 참. 이런 고리타분해 보이는 노교수의 저서에서도 그 유머와 풍자 혹은 비꼼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는데, 뭐 나름 장단은 있겠지만 나로써는 굉장히 부러운 문화일 따름이다. 덕분에 자칫 지루해질수도 있는 부분에서도 흥미를 잃지 않고 볼 수 있었던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