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 만들기 - 신화와 역사의 갈림길
서울대학교 인문학 연구원 '영웅만들기' 프로젝트팀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1월
평점 :
품절


개인적으로는 영웅이 현실에서 어떻게 조작되며 그 조작 과정은 얼마나 우스꽝스러운지, 즉 영웅은 얼마나 허구적인지가 서술되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본서를 샀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러한 당대의 영웅만들기의 허구성에 주목하는 책이 아니다. 이 책이 주목하는 것은 영웅에 대한 기억이 시대의 변화와 필요성에 따라 어떻게 바뀌는가의 측면이다.

책은 나폴레옹이나 엘리자베스, 비스마르크 등이 일단 '영웅이 될만한 자질'을 가진 것을 전제로 깔고 들어간다. 그런 후 국민국가(즉, 근대적인 '상상의 공동체')가 스스로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인물의 기억을 어떻게 조작하는지, 그리고 정치적인 변화에 따라 각 정파에 의해 이 영웅의 기억은 어떻게 조작되고 유지되는지를 추적한다. 즉, 책이 주목하는 것은 바로 '기억의 역사'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책이 겨냥하고 있는 독자층은 다소 불분명해 보인다. 다소 깊이있게 들어갈 법하면 그 순간 내용이 끝난다고 할까? 우리가 아는 그 수많은 외국의 영웅들이, 사후에 살아있을 때보다 더 심하다 싶을 정도로 겪었던 그 수많은 부침의 역사를 보면서 은근히 흥미진진했지만, 그러한 흥미가 생길 때쯤 되면 내용은 갑자기 다른 인물로 넘어간다. 이는 아무래도 공동작업의 단점이 크게 그 위력(?)을 발휘한 영향으로 보이는데, 이를테면 무솔리니 같은 경우-개인적으로는 재미있게 봤던게 사실이지만-'기억의 역사'와 연관이 있어 보이면서도 조금은 책 전체의 흐름과 엇나가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책 도입부에 쓰여진 강옥초 교수의 프롤로그(이 글은 교수님의 유고이다)나, 영웅의 기억에 대한 많은 자료들은 나름대로 읽을만 했다. 하지만, 무언가 아쉬움이 남는 책이었음은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이러한 아쉬움은 이후 같은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대중독재의 영웅만들기-를 읽음으로써 어느정도 해소되었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