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굴뚝청소부
이진경 지음 / 그린비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가에서는 줄여서 '철굴'이라고 불리우는 책. 사실, 개인적으로는 본서를 이미 두번-대학 1학년 때 한번, 대학 3학년때 또 한번-읽은 적이 있었다. 이렇게 이전에 이미 읽은 책을 다시 구입하여 읽게 된 이유는 본서가 2005년에 새로 나온'개정판'이기 때문이다. 

데카르트가 이성을 신으로부터 해방시켜 근대철학의 세계를 열어젖힘으로서 서양철학의 중심에 '인간'이 들어서게 되었지만, 이러한 주체와 대상의 분리는 '내가 진리라고 생각하는 것이 진정 진리인가'에 대한 확신을 무너뜨렸고 이러한 근대철학의 약한 인식론적 기반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책은 각각의 철학자들에 대한 서술을 해나가고 있다.

사실, 이 책은 비교적 대중적으로 보이는 제목에 비해 쉬운 책은 아니다. 솔직히 나 또한 세번째 읽으면서도 정확히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도 종종 있었고, 중간에는 생각들이 얽히고 설켜서 혼란도 일었었다. 게다가 본서에는 중요한 현대철학의 한 흐름이라 할 수 있는 현상학과 해석학적 흐름이 누락되어 있기도 하다. 하지만, 분명 깊이와 난이도 면에서 가장 큰 만족감을 줄만한 대중 철학서라는 생각에는 처음읽었을 때나 지금에나 변함은 없다.

'개정판'에 대한 문제인데, 개인적인 생각에는 구판을 보셨던 분이라도 다시 한번 개정판을 읽어보시는 게 좋을 듯 싶겠다는 권유를 드리고 싶다. 개정판에서는 우선, 구판에서 다소 '탈근대'에 대해 주저하는 모습을 보이는 듯 싶었던 이진경씨가 확실하게 탈근대적 사유(?)를 중심에 두고 있다는 것이 느껴지며 결정적으로 이진경씨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 온 들뢰즈와 가타리에 대한 장이 새로 추가되었다.(이를 통해 그가 왜 현상학 대신 구조주의를 자세히 설명했는지 어렴풋이 알 수 있다.)아울러 개정판에 추가된 도판과 그에관한 설명은 구판에서 하지 못한 이야기들을 추가하여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개정판을 권유하는 데에는 위와 같은 이유보다 더 중요한 이유가 있는데 바로 구판에서는 약했던 결론부분에 추가된 '보론:근대적 지식의 배치와 노마디즘" 때문이다. 이 보론을 통해서 독자는 이진경씨가 본서, 즉 '철굴'을 통해 우리에게 하고자했던 말이 무엇인지를 조금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보이며, 그로 인해 이전에는 단순히 철학자들을 시대 순으로 나열하여 인식론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처럼 보여지던 즉, 일종의 소개서나 개론서 정도로 보여지던 본서가 온전하게 한권의 책으로 바로서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겠다.(따라서 그만큼 '입문서'로서의 성격은 반감되었다. 즉, 공평무사한 듯 보이는 문체에도 불구하고 본서에는 저자의 시각이 노골적으로(?) 묻어있는 것도 사실이다)

게다가 '자본을 넘어선 자본'에서 나왔던 수많은 문제의식들과 끝내지 못한 답변들마저도 보충되어서 보여지고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이 책과 함께 자본을 넘어선 자본을 병렬적으로 읽는다면 얻는 것이 더 많을 수 있지 않을까, 아울러 이진경씨의 앞으로의 '기획'을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