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증보판 리라이팅 클래식 1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인적으로 이 책을 구입해 읽은 이유는 열하일기에 대한 관심 때문이라기 보다는 들뢰즈에 대한 관심 때문이었다. 저자가 소속된 '수유연구실+연구공간 너머'의 성향으로 보나, 책 뒤에 있는 용어 정리로 보나, 이 책은 '들뢰즈의 눈으로 본 열하일기' 정도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읽은 결과 본서의 초점은 '열하일기'에도, '들뢰즈'에도 맞춰져 있는 것 같지는 않다. 물론, 박지원과 그의 열하일기 중심으로 서술은 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소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들뢰즈의 여러 개념이 사용되고는 있지만 책속에선 마치 물에 기름처럼 유기적으로 섞이지 않고 둥둥 떠다닌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그럼에도 이 책을 굉장히 '재미있게 읽었다'는 것을 고백해야겠다. 고미숙씨가 연암의 열하일기를 보며 쓴 수필정도라고 보면 딱 알맞을 본 책은 수입된 '근대'와 그로 인해 제대로 파악되지 못한 우리의 사상을 어느 정도 들춰내 소개(?)하는 것 만큼은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근대화'된 우리가 그저 하나로 묶어 '실학자'로 분류하던 연암 박지원과 다산 정약용이 알고보니 동시대의 사상적 라이벌이었다는 사실만으로도 개인적으로는 꽤나 충격이었다는. 책을 읽으며 줄곳 그 어떤 외국에 대한 이야기보다 더 이국적이라는 느낌을 받았는데 동양에 사는 나조차 서양의 눈으로 동양을 바라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아서 잠시 아찔해졌다. 그리고, '근대'를 통해 얼마나 많은 사유들이 묻히고 사라지고 말았는지를 생각하며 굉장히 아쉬운 느낌이 들었다.

저자도 이 책을 꼭 열하일기나 어떠한 철학 사상을 소개하기 위해 책을 쓴 것 같지 않다. 책에선 줄곳 재미, 웃음, 포복절도 같은 단어들이 난무하는데 이해하기에는 너무도 멀었던 연암과 그의 시대, 우리의 역사였으면서 우리가 멀리한 그 시대가 굉장히 재미있고 친숙하게 보여졌다는 점, 그 하나만으로도 이 책에 별 셋은 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