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리라이팅 클래식 3
고병권 지음 / 그린비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간 '니체' 하면 거부감만 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나 또한 기독교인은 아니지만 '신은 죽었다'라는 과격한 선언에서부터 시작하여, 나치의 국가지정 공식 철학자(?)였다는 꺼림찍함, 뿐만아니라 그의 다소 선동적인(?) 그의 글 쓰기 스타일은 개인적으로는 다소 '재수없다'고 느끼는 수많은 '건방진' 모방자를 만들어내기도 했기 때문이다. 무슨무슨 고전 100선 하면 늘상 들어있는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이하 차라투스트라)또한 읽다가 몇 페이지 보고는 집어치웠다. 이해가 안가기도 했거니와 문체도 '재수없었고', 2차 대전 당시 독일군들은 이 책을 가방에 넣고 전사했다는 이야기도 영 찜찜했다.

니체를 통해 차라투스트라를 볼 수는 있지만, 차라투스트라를 통해 니체를 볼수 없다는 이야기가 있다. 차라투스트라만 봤다가는 니체를 오해하기 쉽상이라는 의미이리라. 그리고, 고병권씨는 니체와 함께 이야기하면서 차라투스트라를 보여줬고, 결과는 니체를 '구제'했을 뿐만 아니라 현대 철학의 선구자로 만들기까지 한 듯 싶다. 이것이 진정 니체의 니체인것인지, 고병권의 니체인것인지는 관심없다. 어쨌건 고병권씨는 니체와 함께 이야기했고, 그의 니체는 오늘날 지극히 생산적이었으며, 그를 통해 보여진 니체는 나에게 '사상의 혁명가'로 다가왔다.

저자는 니체에 대한, 혹은 차라투스트라에 대한 수많은 오해들을 방어해내려 하지 않는다. 오히려 니체 자신의 이야기를 하면서 독자로 하여금 그 오해가 자연히 풀리도록 만든다. 니체의 이야기와 함께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심지어 차라투스트라라는 텍스트를 넘어서까지 니체를 언급하는 저자의 성실함과 매혹적인 필체는 나를 정말 반하게 만들고야 말았다.

아울러 니체에 대한 관련서적을 언급하면서, 니체를 통해 이루어진 이후 학자들의 논의 또한 알기쉽게 잘 정리되어 있으며, 차라투스트라에 나온 동물들에 관한 이야기, 차라투스트라에는 없지만 니체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불가결적인 영겁회귀 사상마저 언급하고 있다. 차라투스트라를 읽지 않으신 분 뿐만 아니라, 이미 읽으신 분들에게도 일독을 권한다. 저자의 니체 독해는 그것이 설령 진정한 니체가 아니라는 비판이 있을지라도, 지금 오늘의 우리에게 너무도 생산적이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