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이성비판, 이성을 법정에 세우다 리라이팅 클래식 7
진은영 지음 / 그린비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이야기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철학에 성공적으로 입문하기 위해서 처음 공부해 볼 만한 철학자로 칸트를 꼽는다고. 그런데 사실 나처럼 '취미삼아' 혹은 '지적 허영에 가득차서'철학에 찝적대는(?) 이에게 마저도 칸트는 '공부해 볼 만한'철학자가 아니다. '공부해야 할'철학자이지. 칸트는 마치 지뢰밭처럼 온갖 철학서에 기본 전제로 깔려있어 철학을 알기위해서는 칸트를 공부'해야'하며, 그럼에도 칸트가 결코 쉬운 철학자가 아니기에 나같은 민간인(?)이 철학을 접하는 것은 마치 300여쪽에 달하는 지옥(?)에 스스로 들어가는 것과 매한가지다.

그러던 중 만난 책이 바로 그린비의 리라이팅 클래식의 7번째 책(출간 순서로는 다섯번째이자, 가장 최근에 출간된 책)인 바로 이 책이다. 저자는 스스로 철학하는 '시인'이라고 이야기하는데, 아니나다를까 저자의 문학적 역량은 책에서 십분 발휘된다. 전적으로 나에겐 지옥같다 싶을 정도로 어려운 칸트가 곳곳에서 다양한 방법으로-칸트의 가상 일기를 쓴다던지, 다른 문학작품을 인용한다던지, 순수이성비판의 내용을 구어체로 서술한다던지-설명되고 있는데, 이는 칸트를 '그나마'쉬우면서도 명쾌하게 설명해내고 있다.

책은 총4부로 나뉘어져 있는데 1부에서는 칸트의 생애와 그의 문제설정, 2부에서는 순수이성비판의 내용 설명, 3부에서는 칸트철학에 대한 후대의 철학자-네그리, 니체, 베르그송,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 그리고 들뢰즈. 참고로 들뢰즈의 칸트에 대한 서술은 그가 '수유연구실+연구공간 너머'소속임을 증명이라도 하듯 가장 자세하고 충실하게 이루어지고 있다-의 논의들, 4부에서는-여타 리라이팅 클래식과 마찬가지로-칸트와 관련된 추천도서가 소개되고 있다.

개인적으로 2부는 굉장히 어렵게 읽었다. 물론, 이는 칸트 그 자체의 난해함 때문이거나 책을 읽는 나의 철학에 대한 무지함 때문일 것이지 저자가 어렵게 쓴 것 때문은 아니리라는 생각은 든다. 하지만 구성이 다소 난삽해 보이는 터, 순수이성비판의 설명 이전에 이 책이 어떠한 이유로 어떠어떠한 설명을 할 것인지부터 미리 서술해 주었더라면 조금 더 좋았을 뻔 했겠다는 생각은 든다. 책에서 가장 빛나는 부분은 3부인데, 2부를 어렵게 읽은 독자라도 3부의 칸트 철학에 대한 후세 철학자들의 평가와 비판들을 읽다보면, 칸트철학, 뿐만아니라 칸트철학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위치-모더니즘 혹은 계몽사상의 정점-덕택에 모더니즘 전반의 명과 암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칸트는 참 '어려운 철학'을 했다. 그래서 그런 것일까? 사실, 저자의 말마따나 "그래서 어쩌라고?"라는 의문이 생길 정도로 오늘날 그의 사상이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바로 다가오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철학보다 철학하기를 강조한' 칸트의 말마따나, 오늘날 그의 결코 쉽지 않은 작업들은 우리의 '철학하기'의 지평을 더욱 넓혀주고 있는 것은 사실인 것으로 보여지며, 때문에 저자의 이 작업-순수이성비판을 리라이팅 즉,'다시 쓴것'-은 그 의의가 적지 않다고 보여진다. 도전(?)해 볼만한 책이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