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문 읽기의 혁명 - 개정판
손석춘 지음 / 개마고원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마도 내 대학시절 캠퍼스 전반(?)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책을 꼽으라면 이 책을 꼽아야 하지 않을까? 여담이다만 개인적으로도 본서를 이용해 대학 1학년때 세미나를 했고, 2학년땐 세미나를 진행했으며, 3학년땐 세미나를 구경(?)한 바 있다. 그야말로 '한놈만 패는' 안티조선 운동을 가장 대중화(?)시킨 것은 강준만씨의 공이 가장 크겠지만, 그러한 실천적 운동 이전에 언론을 바라보는 비판적인 시각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본서의 영향력은 정말 컸으리라는 생각이 든다.(그런가요?ㅋ)
책은 신문이 신문이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과정인, 어찌보면 신문의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 '편집'을 중심으로 신문에 대해 논한다. 저자는 이러한 편집의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 후 이처럼 중요한 편집이 정치에 의해, 사주에 의해, 광고주(즉, 자본)에 의해 어떻게 왜곡되어 왔으며 왜곡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책을 보다보면 정말이지 우리는 언론이 정해놓은 메트릭스 속에서 살아간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충격적이다. 이러한 왜곡된 가상현실(?)을 벗어나기 위한 저자의 제안은 비교적 간단명료한데, 그건 바로 독자 스스로 '편집을 해체하고 재구성하라'는 것. 이는 처음 본서를 읽었던 대학 1학년 시절의 나에게는 단순히 행간을 읽으라는 조악한 수준의 신문독법을 넘어서는 정말이지 '혁명적인' 제안으로 다가왔다.
사실 스튜어트 홀 말마따나 언론정보는 일방적으로 주입되고 수용된다기보다는 다 액센트성을 지닌 정보가 공급, 소비되는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자본에, 언론권력에, 정치권력에 종속된 우리의 언론을 바로잡는 가장 현실적이고도 효과적인 방법은 독자들이 능동적으로 편집을 재구성하여 입체적으로 독해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고, 때문에 '더러운 창을 깨자'는 저자의 제안은 지금까지도 정말 가슴에 와닿는다 하겠다.
ps.여담이다만, 이 책에 사례로써 수록된 수많은 기사들은 사료적 측면에서라도 보관할만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는 구판도 봤고 개정판도 봤는데, 내용상 큰 차이는 없어보이며 단지 역시나 사료적 가치(?)가 있을만한 몇몇 기사들이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물론 민언련으로부터 '향후 몇십년간 이런 사설이 또 나올수 있을까'라는 영광어린? 평가를 받은 조선일보의 '정몽준, 노무현 버렸다'사설도 추가되어 있다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