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진화심리학 ㅣ 하룻밤의 지식여행 4
딜런 에반스 지음, 이충호 옮김, 오스카 저레이트 그림 / 김영사 / 2001년 2월
평점 :
절판
'진화심리학'이 엄밀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면서도 웬지 끌렸었지만, 학창시절 생물과목은 언제나 잼병이었고 덕분에 이쪽에 대한 공포심은 가히 병적이었던지라 그것과의 만남(?)을 차일피일 미뤄오던 차, 김영사의 '하룻밤의 지식여행'시리즈 4번째 책으로 진화심리학이 출간되어 있길래 별 생각없이 구입했다. 여담이지만, 김영사의 '하룻밤의 지식여행'시리즈 중 이전에 읽은 바 있던 '데리다'에 비해서는 확실히 '그림'이 많아서 읽기 편했다.(학교가는 지하철 안에서 오가며 다 읽을 정도였으니)
사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의도하건 안하건 심리학적 혹은 진화론적 견지에서 논의를 전개하는 것을 종종 봐왔고, 어찌보면 그만큼 진화심리학이 단순히 학계에서 뿐만 아닌, 사회 저변에 각광받고 있는 것은 사실인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책을 읽은 결과 그만큼이나 '진화생물학'에 대한 오해도 상당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그 오해에 있어서는 나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_-v)
진화생물학과 인지심리학이 결합된 학문인 진화심리학은 인간의 '마음'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인간의 유전자는 행동을 직접 일으키지는 않지만, 자연선택을 통한 진화를 속에서 마음의 '모듈'을 만드는데 기여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인간의 마음은 수많은 모듈을 지니게 되며 결국 이러한 수많은 모듈을 탐구하는 것이 진화심리학이다.(맞나요?^^) 문제는 이것이 모듈에 의한 것이냐 아니면 모듈의 파생효과에 의한 것이냐는 건데, 책은 이에 대한 설명도 간략하면서 명확하게 잘 해내고 있다. 솔직히 개인적으로도 책을 읽으면서 진화심리학의 몇몇 부분은 다소 갖다 붙힌다는 느낌이 들었고 어떤 부분은 다분히 의제적이라는 생각도 종종 들곤 했지만, 인간의 마음을 '진화'와 '적응'이라는 색다르지만 합리적인 틀 속에서 살펴본다는 점에서 인간이라는 '동물'은 기본적으로 어떤 동물인가를 파악해 나가는데 크나큰 역할이 기대된다는 것은 그 누구도 부정하기 어려우리라 생각된다.
문제는 진화심리학의 '아픈 과거'이다. 스펜서류(類)의 사회적 다윈주의는 '적자생존'을 내세우며 가혹한 자유방임주의에 기여하기도 했으며, 나아가 나치시대 대학살에 일조하기도 했다. 하지만 책은 사람들이 진화심리학에 이러한 딱지를 갖다 붙히는 것은-역사적인 이유로-이해는 가긴 하지만 옳지 못한 지적이라고 이야기한다. 사실 저러한 유전자 결정론은 인간의 보편적인 마음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며 그 보편적인 마음이 어떻게 환경적 요인에 의해 달리 표출되느냐를 탐구하는 진화심리학과는 출발부터 다른 것이 사실이다. 진화심리학은 그 자체로 어떤 정치적 의미를 담고있는 학문이 아니며, 문제는 그 학문을 탐구하는 인간이 정치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 결국 이러한 마음모듈을 지닌 인간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는 연구자를 비롯한 인간들에게 맡겨진 문제로 보인다.
아무튼 사회를 변혁하기 위해서건 유지하기 위해서건 '우리'란 어떤 존재인가라는 질문부터 시작해야 함은 자명하고, 그러한 질문에 대해 철학이나 사회학적 접근만으로는 부족한 점이 많은 것은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진화심리학은 인문학의 그러한 부족함을 채워줄 구세주같은(?)학문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때문에 앞으로도 수많은 발전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그리고 이루어 질 학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여튼 읽어보시라. 무엇보다 책에서 소개된 진화심리학의 모듈들은 '재미있다.' 실제 진화심리학이 갖는 그 '재미'의 지나침은 종종 진화심리학 비판자들의 먹잇감(?)이 된다고 한다ㅋ(여담이다만, 개인적으로는 역시나 남성과 여성 관련 모듈 부분에 특히 흥미가 갔는데, 뭐 나만 그랬을 것 같지는 않다ㅋ 하여간 재미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