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호프 단편선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70
안톤 파블로비치 체홉 지음, 박현섭 옮김 / 민음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종종 러시아 예술에 있어 문학의 그 특수한 지위를 이야기하곤 한다. 그러면서 흔히 떠올리는 것은 도스토예프스키나 톨스토이인데, 정작 러시아 본토에서 가장 사랑받는 작가는 체호프라고 한다.(물론 나도 어디선가 들은 이야기라 확언하긴 어렵다마는) 체호프와 푸쉬킨을, 삼음절이라는 것 외에는 한글자도 일치하지 않는 이 두사람을 언제나 헷갈리곤 하는 나로써는 다소 어안이 벙벙해지는(?) 이야기이긴 한데, 그러던 중 세계3대 단편소설 어쩌고에 체호프의 이름이 또 보이길래 등수놀이 좋아하는(?!) 못된 독자로써 엉겁결에 읽게 된 책이 본서이다.

라고 말하면 거짓말이겠고, 사실 서점에서 사람 기다리다가 본서에 수록된 첫단편인 '관리의 죽음'이 너무 웃겨서(-_-;;;;) 본서를 읽게 되었다. 마치 120여년 후 한반도에서 하나의 개그 코드가 되어버린 듯한 '허무개그'랄까, 그런 것을 선취한 듯한 체호프의 시대를 앞선 유머감각(?)은 고전의 근엄함에 대비되어 더욱 경쾌하게 읽혔고, 이는 웬지모를 가을의 우울함에 빠져있는 나에게 기대를 주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본서에 실린 10편의 단편(아무리 세어봐도 10개인데 왜 책 말미의 소개에는 아홉편이라 쓰여있는건지?)을 다 읽은 결과 '관리의 죽음'이 단순한 개그가 아니라고 결론지을 수밖에 없었다. 아니, 솔직히 말하자면 그의 단편을 읽고 좀 더 유쾌해보고자 했던 나의 의도는 완전히 실패했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체호프의 모든 단편들을 꿰뚫는, 일종의 공집합으로서의 정조는 딱 한가지이다. '인간은 원래 그렇고 그런것'이라고. 그렇다면 그렇고 그렇다는게 뭐가 그렇고 그렇다는 것인지? 그것은 '인간의 삶이란 원래 덧없는 것'으로 풀어 말할 수 있겠다. 앞에서 언급한 '관리의 죽음'이나, 아마도 독자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킬 법한 '드라마' 또한 오늘의 독자가, 저자의 다른 단편을 읽지 않고 그것만 읽었다면 애초에 습득한 '코드'에 의해 유쾌해지겠지만, 다른 단편과 함께 그 작품을 읽을 경우 체호프가 작품을 통해 구체적으로 의도한건 바로 그 인간 삶의 덧없음을 이야기하기 위함이었음을 어렵잖게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체호프의 작품에 유쾌함이라곤 찾아볼 수 없다고 말하려는 것은 아니다. 사실 체호프의 모든 단편에는 대놓고건 아니건 어디에나 묘한 익살이 깔려있다. 문제는 이 부분에서 유쾌함을 느끼고 있는 독자의 감상을 독자 스스로 다시금 돌이켜볼 때 곱씹을 수밖에 없는 우울함이다. '티푸스'에서 클리모프는 조카가 자신의 병에 전염되어 죽었음에도 회복기의 동물적 기쁨을 이겨내지(?)못한다. 사실 내가 체호프의 단편들을 읽으며 느끼는 유쾌함도 그런 종류의 것이었기에 본서를 읽는 내내 우울했다. 진리라는게 알려고 한들 알 수 없는 것이고, 인간이라는게 죽고나면 덧없이 잊혀지는 것인데, 우리는 왜그리 아둥버둥 난리인걸까. 그런 것들을 아는 사람이건 모르는 사람이건 결국엔 그 속에서 살아가며 '덧없음이 예정된 즐거움'을 도모할 수밖에 없는것은, 일종의 인간 본성으로 봐야 하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