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식민주의에 대한 성찰 - 푸코, 파농, 사이드, 바바, 스피박 살림지식총서 248
박종성 지음 / 살림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윤건차씨의 역작 '한국현대 사상의 흐름'을 읽다보면 식민지 근대를 겪은 한반도에 정작 그 식민지성을 고려하는 학문적 정향이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는 다소 의문섞인 질타가 이어지는 부분이 있다. 아닌게 아니라 이념여하를 막론하고 우리는 마치 우리가 식민지가 아니었던 것처럼 사고하는 것에 익숙하다. 설령 사고하게 된다 하더라도 그 계기는 식민지성의 극복으로서가 아닌, 뉴라이트의 역사교과서 '파동'(?!)에서 볼 수 있듯 이른바 '신식민주의적 사고의 내면화'로서 언뜻 스쳐지나가는 정도인데, 이는 종종 한국사회의 문제를 올바로 분석하여 그 대안을 내놓는데에 뜻하지 않은 장애물로 전화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다소 어처구니없는 상황에서, 저자의 '탈식민주의'에 관한 저술이 그 이론적 측면보다 실천적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서술된 것은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진다. 저자는 지속과 청산이라는 양가적 의미를 동시에 담고있는 '탈식민주의'에 대한 간단한 개념설명을 시작으로 제국주의의 작동 매커니즘과 그것이 어떻게 우리에게 내면화 되는지, 그 내면화를 극복하고 어떻게 효과적인 저항담론을 창출하여 이에 대항할 수 있을지를 다양한 문학작품에 대한 분석이나 사이드나 파농, 스피박 등의 논의를 소개하며 모색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서술의 상당부분은 이론 그 자체보다 우리의 현실에 대한 심지어 '격정토로'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의 실천적 측면에 그 방점이 찍혀져 있는듯 하다.

그런점에서 본서는, 물론 영국, 프랑스, 일본 제국주의의 지배방식의 차이라던지, 서구의 문학 고전이 어떻게 제국주의적 사고를 내면화시키는지에 대한 분석에 있어-푸코, 파농, 사이드 등등의 탈식민주의 이론가에 대한 부실한 설명에도 불구하고-매우 흥미로우면서도 날카롭게 읽히는 부분이 없잖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 상당부분 일종의 선언(?)같은 느낌을 주는 책인듯 싶다. 일단 저자 스스로 식민주의의 유산을 전혀 극복하지 못했으면서도, 그 사실자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우리의 현실에 대한 강한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어서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솔직히 책의 연결과는 다소 동떨어진 부분에서 우리의 현실에 대한 비판이 나오고는 해서 가끔씩 당황스럽기도 했으며, 마지막 '저항적 식민주의'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대목은-지면상의 제약을 고려하더라도-그 논리가 너무도 '거칠었다'.

그럼에도 다소 유기성이 떨어지는 구성과 저자의 거친 주장을 담고있는 본서의 출판이 반가운 것은, 우리 안의 식민주의, 아니 그 전에 식민지 경험조차 암묵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상정하곤 하는 우리사회 사고체계의 현실 때문이다. 한국사회의 이념적 지형이 서구의 그것과 달라도 너무 다르다는 학자들의 푸념에서, '자학적 역사관'을 비판하는 보수단체의 사자후(?!)에서, 영어조기교육에 올인하는 우리의 학부모들에게서 느껴지는 것은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조차 알지못하는(그리고 알려는 의지조차 갖고 있지 않은)자들에게서 보여지는 천박함과 한심함이다.

물론 이런 짧은 책으로 그러한 문제들에 대한 완벽한 자각과 대항담론의 마련이 이루어질 것이라고는 저자부터 기대하지 않았을 듯 싶다. 하지만 오늘 우리사회에 그 인식이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어느누구도 그 절실함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이 때, 이 짧은 책은 그러한 문제의식을 다소나마 느끼게 해준다는 점에서 누구나 한번쯤 읽어 볼만한 책이 아닐까 싶다.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