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캉 읽기 ㅣ 정신분석과 미학총서 2
숀 호머 지음, 김서영 옮김 / 은행나무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라캉에 대한 단행본이 그리 적은 것도 아니지만, 어지간한 철학 개론서를 읽으면서 그를 조금이라도 접하지 않기란 쉬운 일은 아니다. 개인적으로도 철굴이나 현대철학의 흐름, 혹은 전경갑씨의 저작을 통해서 라캉을 몇번씩 마주쳤던 기억이 있는데, 희한하게도 다른 후기구조주의 철학자들에 비한다손 치더라도 좀 심하게 그에 대한 인상은 항상 뿌연 상태로 남아있었다. 이는 아마도 후기 구조주의 사상가들의 파편적 경향성이랄까 그런것 보다는 라캉의 '전공(?)'인 정신분석학의 학문적 특성에 기인하는 것인 듯 싶은데, 정신분석이라는 학문 자체가 카를 포퍼 말마따나 '과학이 아니다'라고 공격받을 수 있을 정도로 자칫 잘못하다가는 자의적이고 폐쇄적인 논리적 기반에 의지해야만 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에 단세포적으로(?) 집착하는 기존의 아주 원시적(?)인 정신분석학적 설명은 정신분석학 자체에 대한 나의 편견을 강화시켰고, 결국 라캉의 이야기들마저도 근거없는 말장난이라거나 맥락을 잃은 지적 묘기대행진 정도로 치부하게 만들었다. 이런 편견에 작지 않은 균열을 가져다 준 것이 다름아닌 지젝이었는데, 앨피에서 나온 지젝에 대한 개론서(루틀리지 시리즈를 번역한 것으로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참고로 본서도 루틀리지에서 나온 시리즈 물의 하나인데, 판권 계약이 어떻게 된 것인지, 하여간 다른 철학자들과 달리 라캉과 들뢰즈만 앨피가 아닌 다른 출판사에서 출간되어 있다.)는 라캉이 단순히 무의식을 핑계로 인간의 소소한 행동에 대해 미주알고주알 떠드는 사상가는 아님을, 외려 세상을 조금 더 참신하고 날카롭게 보는 시각을 마련해줄 도구를 마련해준 사상가임을 일깨워주는 듯 했다.
그럼에도 라캉을 건너뛰고 지젝을 읽지 못한 것은-사실 지젝이야말로 라캉에 대한 가장 훌륭한 해설가라고는 하지만-라캉에 대한 아주 기본적인 인식없이 그의 지독하게도 난해한 저작을 읽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었고, 지젝에 대한 개론서 또한 완독 후에도 그 이해에 있어 무언가 나 자신에게 석연찮은 점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해서, 라캉에 대한 이런저런 개론서를 들춰보던 중 처음으로 완독하게 된 것이 본서이다.
본서는 후기 구조주의 철학자들에 대한 개론서가 흔히 빠지게 되는 난점-통시적 맥락이랄까, 그런것들을 잃고 중언부언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몇가지 개념들을 중심으로 서술해 나가는데, 너무도 유명한 상상계-상징계-실재계의 세가지 개념과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와 팔루스의 의미, 주체의 개념과 성차에 대한 문제가 바로 그것이다. 저자는 그러한 개념들에 대한 설명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 라캉에 대한 어느정도 '인상'(?)을 만들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말미의 '라캉이후'라는 꼭지에서는 정치, 사회, 문화적 부문에 있어서의 후대 철학자들의 논쟁을 소개하며 우회적이지만 어찌보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라캉 철학의 문제의식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라캉의 사상이 단순히 지적 놀음이 아닌 현실적 문제들을 고민하는 데 요긴한 도구임을 방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정신분석학이라는 학문 자체의 성격이 그렇듯 라캉은 말로 할 수 없는 것들을 해명하고자 한, 철학자이기 이전에 정신분석학자이다. 뿐만 아니라 오이디푸스 컴플렉스의 단선적인 해석과 협애한 적용으로 인해 완전히 한물간 이론으로 치부되고 있었던 당대 정신분석학의 부활을 위해 프로이트를 '다시 읽으며' 강력한 사상적 뒤집기(?)를 도모한 그의 철학은 수많은 역설과 난해함으로 점철되어있다. 때문에 저자는 라캉을 쉽게 쓰고자 노력했고 그런 흔적이 곳곳에 보이는 것도 사실이지만 본서는 여전히 쉽지않은 책이다. 하지만 오늘의 인간을 이해하고 그들이 모여 이룬 사회를 이해함에 있어 '무의식'이 차지하는 부분은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광범위하며, 이를 분석함에 있어 라캉의 기여는 두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상당하다. 때문에 라캉에 대한 이해는 고통스럽지만 즐거운 것이며(언어라는 것이 근본적으로 타자의 것이기에, 이렇게 표현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매우 안타깝다.) 우리가 라캉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영원히 충족하지 못할 '욕망'(라캉은 욕구와 욕망을 구분하며 전자는 충족될 수 있는 것, 후자는 충족될 수 없는 것으로 구분한다)일지라도 본서는 우리의 그러한 욕망을 향한 첫걸음에 충분한 도움이 될 수 있을만큼 잘 쓰여진 책이다. 일독을 권한다.
ps.'서구 마르크스주의'의 특징이랄까, 물론 그가 맑시스트라는건 아니지만 아무튼 그의 사상 또한 서구의 그러한 사상적 분위기(?)에서 자유롭지 못해서 그런건지, 뭐든 결국엔 '실패할 수밖에 없는것', 혹은 '불가능한 것'투성이다. 때문에 책을 읽으며 그의 사상 전반에 대해 느낄수 있는 색체랄까, 그런것은 기본적으로 어둡고 혼란스러운 것이었지만, 이처럼 그의 묵시론적(?)시각-대표적으로 주체는 '진정한'의식을 획득할 수 없다는 것-이 급진적 민주주의의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은 개인적으로 굉장히 인상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