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러 두 책을 동시에 읽은 것은 아니지만 그렇게 읽고 보니 재미있는 지점이 생긴다.


카뮈는 파시즘과 공산주의를 살인을 허용하는 정치체제라는 관점에서 동일시 했다. 카뮈가 보기에는 허무주의에의 굴종과 역사에의 굴종은 모두 똑같이 땅 위의 인간들에게는 비극이었다. 그가 생각하기에는 어디에도 굴종하지 않고 반항하는 것만이 진정 옳은 선택이었다. 카뮈의 반항이란 절대를 부정하고 역사의 종착점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그것은 영원한 생성과 운동의 역사관을 갖고 생의 한계를 인정하며 온건하고 인도적인 태도를 무엇보다 중시한다.

그런 의도로 쓴 저서가 《반항하는 인간》이었기 때문에 카뮈는 이 책에서 파시즘만큼 이나 사실은 더 엄격하게 공산주의와 그 추종자들을 부정한다. 당시에 이 책은 하나의 무기인 셈이었다. 카뮈는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게도 되었으나 훨씬 더 많은 친구들을 잃었다. 적들이 늘었다. 그 유명한 사르트르와의 결별에도 이 책은 결정적인 역할을 맡았다. 우 아니면 좌여야 했던 때에 사람 좋은 주장이나 한다는 식으로 매도된 카뮈는 성인 소리를 들으며 깊은 우울감에 빠지게 된다.


말로의 소설은 카뮈의 에세이보다 23년이 앞서 출간되었다. 소설은 중국 광둥 지방을 중심으로 영국의 제국주의에 맞선 활동가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소설의 주요 인물인 가린은 프랑스인이면서 회의하는 인터내셔널 소속 지도자이다. 가린은 표면적으로 광둥 지역 중국인들의 대대적 봉기와 더불어 이 지역에서 인터내셔널의 지배력이 강화되기를 원한다. 이에 맞서는 인물인 쩡다이는 중국의 간디라고 불리는 인도주의자로 이유불문 테러리즘의 거부와 중국 민족의 자주를 위해 헌신한다. 앞서 말했듯이 말로의 이 소설은 카뮈의 에세이보다 한참이나 앞섰다. 하지만 그 사상의 정수만 떼어 놓고 보자면 중국인의 정신적 아버지 쩡다이로부터 고독과 연대를 동시에 갈망했던 카뮈의 모습을 떠올리는 것이 어렵지가 않다. 카뮈는 말로를 존경하고 있었던 것 같다. 그는 자신보다 말로가 노벨상을 받았어야 한다고 했던 것이다.

쩡다이는 무정부주의자 테러리스트들에 의해 암살 당한다. 가린은 당의 기계적인 역사 구현에 피로감을 느낀다. 카뮈 역시 생전에 적지 않게 보복 테러에 대한 위협에 두려워했다. 그는 결국 자신이 개죽음이라고 여겼던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카뮈의 죽음과 관련해 KGB 개입설을 주장한 교수가 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뒷면 구석에 조그맣게 실린 기사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