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의 목소리가 들려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마지막 책장을 넘기고 나서도 좀처럼 정리가 되지 않는 소설이 있다. 정리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하지 못했거나, 혹은 하나의 관점으로 이해하기에는 아쉽다는 조건에서 비롯된다. 전자의 경우는 함량미달이라 여기며 기피하게 되고, 후자의 경우는 곱씹으며 좋아하게 된다. 내 생각에는 좋은 소설의 조건이라는 것도 크게 다르지 않다.
두 소년이 있다. 그 중 제이라는 소년에게 관심이 쏠린다. 제이는 낳아준 어미가 있고, 길러준 어미가 있어도 결국 아무도 없었던 소년이다. 이를테면 태생적 고아가 제이에게 주어진 하나의 신분이다. 그리고 제이에게는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동규라는 소년이 있다. 동규를 주어로 말하자면 그에게는 제이가 그림자처럼 들러붙어 있었다고 말 할 수도 있으리라. 동규가 선택적 함구증이라는 병으로 말을 잃었을 때, 제이는 동규의 언어를 이해하는, 조직하는, 구사하고 표현하는 유일한 존재였다. 제이는 동규의 에고이자 이드였다. 제이가 동규의 언어를 대변했고 욕망을 대리했다. 제이는 안티크리스트의 언어로 이야기하고, 사회로부터 받아들여지지 않는 욕망이기에 억압된 폭력을 끄집어내어 사회에 내동댕이친다. 제이는 마구간이라는 목가적인 빈민의 풍경이 아닌, 터미널 화장실 부스라는 격리된 음습한 풍경에서 태어났다. 아이의 탄생을 경하하기 위해 동방박사 삼인이 방문하는 대신, 단지 참상을 목도하기 위해 터미널의 군상들이 피가 흥건한 화장실 부스로 몰려들었다.
폭주족이 숭앙하는 안티크리스트에게 동규란 상실된 초자아로 나타난다. 동규가 제이를 위해서 행한 두 차례의 행동 중 하나는 제이를 사회로부터 격리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보육원으로 강제 이송), 또 다른 하나는 제이를 세상으로부터 격리시킨다(경찰의 진압행동에 의한 사고사). 제이의 죽음이 동규의 자살로 이어지는 것은 둘의 관계가 애초부터 그러했기 때문이다. 제이는 초자아를 상실한 채 에고를 두른 이드의 화신이었고, 동규는 자신의 에고와 이드를 죽음으로 몰아가고 남은 초자아라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초자아는 살해를 방기한 초자아를 용납할 수 없다. 초자아의 살해방기에 대한 심판은 극단적일 것이다. 물론 이것은 제이와 동규의 에고이자 이드이며 초자아이다. 용어 뒤에 숨어 있는 실상은 독자 개개의 몫이다. 에필로그를 읽고 두 소년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소설의 형식과 어쩌면 그 의의에 대해 묻고 답하는 것 역시 독자 개개의 몫으로 남는다. 소설의 즐거움이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