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은 다른 곳에 ㅣ 밀란 쿤데라 전집 3
밀란 쿤데라 지음, 방미경 옮김 / 민음사 / 2011년 11월
평점 :
야로밀은 시인으로 태어난다. 그의 엄마가 이미 그를 시인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재치 있는 말을 구사할 줄 아는 어린이로서 사랑 받았다. 언어의 마술이 스스로를 특별하게 만들어준다는 사실을
그는 어린 나이에 체감한다. 엄마를 닮아 예쁘장한 외모와 가느다른 금발을 가지고 태어난 야로밀은 나이가 들면서 자신의 외모가 영
못마땅하다. 여자의 육체를 경험하는데 가장 장애가 되는 것이 바로 예쁘장한데다가 어려보이기까지 하는 자신의 외모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여자를 경험하기 위해선 그 자신이 남자여야 했다). 그는 자신의 시를 통해 다분히 환상적으로 성적 결핍을 채워나간다.
야로밀에겐 스승과도 같은 화가가 한 사람 있다. 화가는 현대예술(초현실주의. 소설의 시대적 배경이 1948년의 체코를 전후로 하고
있으므로)의 옹호자였고 야로밀 역시(그리고 그의 시 또한) 그러했다. 그러나 화가의 친구들과 함께 한 회합실에서 그는 남자여야
했으므로(그곳에 물론 여자가 있었으므로) 야로밀은 화가와 자신의 시를 매장하고(자립과 독립이야 말로 남성성이므로) 공산주의 혁명에
동참하는 예술만이 유일한 예술임을 역설한다. 그는 여자를 경험하고 새로운 시를 발견했으며 엄마와 다투어야 했다. 엄마는 야로밀이
영원히 그에게 속해 있기를 원했고 그는 거기서 영원히 벗어날 수 없었다. 그는 죽을 때까지 영원히 엄마의 얼굴을 품고 있었고,
결코 그토록 그리던 남자의 세계로 넘어갈 수 없었다.
시란 무엇인가? 우리는 지난하고 까다로운 시라는 것에 대해 종합적 정의를
내리려는 것이 아니다. 쿤데라의 소설이라는 프레임을 통해 제공된 하나의 창 너머를 들여다보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말할 수
있다. 시란, 엄밀히 말해서 서정시란 양가적 진실이다. 그것은 경험을 통해 획득한 진실이 아니라 감정으로 다다른 진실이다. 어제의
슬픔과 오늘의 행복은 동시에 모두 진실이다. 또한 서정시인은 무경험의 천재이다. 그들의 내면엔 두 개의 거울이 있다. 하나는
생활적 실존으로서의 자신을 비추는 거울이고, 또 다른 하나는 환상의 세계로 넘어가기 위한 통로로서의 거울이다. 그들은 시를 통해
사랑하고, 분노하고, 응징하며, 혁명을 완수한다. 그래서 언제나 그들의 삶은 여기에 있지 않다. 여기에 있는 것은 삶이라고
부르기엔 초라하고, 왜곡되고, 비루하며 미완성인 것이다. 언제나 삶은 다른 곳에 있다.
그렇다면 소설이란 무엇인가? 이 또한 우리는 쿤데라가 제공한 창 너머를
들여다보는 하나의 시선이라는 점을 우선해야 한다. 그렇다면 다음의 얘기로 넘어갈 수가 있다. 시와 거울이 상호적 관계를 갖는다면
소설은 관망대와 그러한 관계를 갖는다. 소설은 관망대를 설치해두고 외부를 꼼꼼하게 관찰하는 것이다. 시인이 자신의 내면의 거울을
들여다볼 때, 소설가는 관망대를 통해 역사라는 환경에 놓인 인물을 관찰하고 들여다본다. 우리의 실존은 무한하지만 실존이
처한 역사라는 장의 크기만큼만 무한하다. 이 소설의 6부에서 우리는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물론 그것은 소설 전체에
해당되는 사실이다.
글을 쓰다보니 지나치게 힘이 들어간 것 같다. 아직 똥폼 잡고 싶은 나이라는 걸
속일 수가 없는 모양이다. 물론 쿤데라의 소설엔 힘이 있지만 나는 그의 소설을 읽을 때마다 낄낄대지 않을 수 없음을 말해두어야 할
것 같다. 그가 감춰지거나 부자연스럽게 표출되는 욕망의 우스광쓰러움을 소설 속에서 기가 막히게 포착해내주니 말이다. 그렇지
않았다면 그의 소설을 이렇게까지 좋아하지는 않았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