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적 보편주의 - 권력의 레토릭
이매뉴얼 월러스틴 지음, 김재오 옮김 / 창비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처가 의심스럽지만 누군가 독서를 '개인적 차원의 책 읽기'와 '사회적 차원의 책 읽기'로 구분했던 글을 읽었던 기억이 난다. 전자는 독서에서 순수한 쾌락을 취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흔히 말하는 문학작품 읽기가 대표적 예이다. 후자는 현대 사회에서 진행 중인 사회적 담론에 대한 지식 습득을 목적으로 하며, 철학이나 사회과학 자연과학 서적 등의 독서를 예로 들 수 있겠다(글을 쓰다보니 용어의 자의적 창작이야 기억의 한계로 인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구분의 내용은 다치바나 다카시의 주장을 인용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두 가지 구분이 결코 명확하고 선명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전자는 후자를 내포하거나 구체화 할 수도 있으며, 후자 역시 독자에 따라 전자의 목적을 동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어디 세상사 그렇게 간단하게 구분되는 것이 있던가.

세계체제론으로 널리 알려진(그러나 나에게는 너무나도 생소한) 석학 이매뉴얼 월러스틴의 『유럽적 보편주의:권력의 레토릭』은 '사회적 차원의 책 읽기'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개인적 차원의 책 읽기'라는 물줄기와 섞여 흐르게 된 독서 경험 중의 하나이다. 이보라. 역시 이분법은 나쁘고 충분히 불충분하다.

 

 

이매뉴얼 월러스틴의 입문서로 읽기에 좋다는('로쟈'로 유명한 '이현우'씨의) 서평을 접하고 나는 그의 『근대세계체제』와 『유럽적 보편주의』를 동시에 빌렸다. 분량으로 보나 가독성으로 보나 후자를 먼저 읽는 게 에너지 효율성에 유리하다는 판단을 누구나 하게 될 것이다.

본문의 내용은 대단히 명쾌하다. 월러스틴은 16세기 이후 현재까지 이어져 오는 서구의 문화, 자본, 지적 권력의 지배현상을 '유럽적 보편주의'로 정의하고 이것이 절대 보편적인 보편주의가 아님을, 그것은 서구라는 세계의 특수한 상황의 우월성과 힘이 담보된 '특수한 보편주의'임을 주장한다.

1장에서 월러스틴은 16세기, 에스파냐의 아메리카 대륙 정복과 관련된 당시의 커다란 지적 논쟁, 라스 까싸쓰와 쎄뿔베다의 논쟁을 중요한 사건으로 본다. 당시 에스파냐의 식민 정책의 대상국이 된 아메리카 대륙의 정복 과정에서 이를 지지했던 쎄뿔베다의 주장은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서구 문명의 주요한, 그리고 그것으로 전부인 견고한 레토릭이 되었다. 그의 주장은 원주민은 미개하다는 것, 그 결과 인신공양과 우상숭배와 같은 죄악(자연법의 위반)을 저지른다는 것, 그 죄악으로 인해 피해 받는 무고한 사람들을 구해야 한다는 것, 보편적 진리인 기독교의 안전한 전파를 위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여기에 대항하는 라스 까싸쓰의 논리는 이러하다. 야만은 어디에나 존재하며 이 행위는 어느 경우에나 소수의 행동이라는 것, 기독교의 교리와 무관한 이들을 기독교의 사법권으로 단죄할 수 없다는 것, 무엇보다도 교회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가혹한 폭력과 살육으로 인해 원주민들의 원망을 사는 것이 진리의 전파에 진정한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는 것 등이다. 라스 까싸쓰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행해지는 폭력의 참상을 직접 목도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행위의 결과를 통해 경제적 이득을 얻는 자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것은 사실 진리의 이름으로 행해지는 단죄나 포교와는 무관한 사항이었다.

 

 

16세기 이후 유럽적 보편주의의 레토릭은 본질적으로 쎄뿔베다의 주장에서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고 월러스틴은 설명한다. 16세기는 신앙의 이름으로, 19세기는 문명화의 이름으로, 20세기는 민주주의와 인권의 이름으로 행해질 뿐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기독교의 권위가 개개의 신앙적인 차원과는 무관하게 어떤 방식으로 불합리한 지배구조를 만들었는지 알고 있다. 오리엔탈리즘이라는 서구의 시선이 동양이라는 제국을 요리하고 삼키기 위해 만들어진 레시피라는 사실도 어느 정도는 알고 있다. 그리고 과학이라는 가치중립적 보편주의가 어디에서나 성행할 수 있는 인문학의 권위를 깔아뭉개기 위한 서구의 책략이라는 주장은 아직 어딘가 낯설다(과학의 발전이 자본과 긴밀한 관계를 맺지 않을 수 없다는 불편한 진실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그러나 나는 이 노학자의 충고가 대단히 설득력이 있음을 부정하지 않는다. 깨어있어야겠지만 급할 건 없다. 이제 겨우 입문서를 읽었을 뿐이니까. 급하면 쉽게 탈이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