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야의 이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67
헤르만 헤세 지음, 김누리 옮김 / 민음사 / 200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세의 『황야의 이리』가 명작이라는데 개인적으로는 조금도 이견이 없다. 이 소설은 정말이지 대단한 작품이다. 그러나 채워지지 않는 미진함, 혹은 황홀감 뒤에 남은 의혹이 떨쳐지질 않는다.

 

 

'미친 사람만 볼 것.' 헤세는 소설을 읽는 독자들에게 경고를, 아니면 고도의 위로를 저 한 문장으로 시도한다. 소설 속 주인공인 하리 할러가 바로 그 미친 사람이며 독자는 그를 따라 미치거나 미치고 싶거나 미치지 않기 위해 애를 써야할 것이다. 하리 할러의 광기는 시민사회, 질서와 법과 평안한 생활과 적당한 쾌락을 추구하는 바로 저 시민사회에 대한 경멸로부터 비롯되었다. 하리 할러는 시민사회를 경멸하는 고귀한 영혼의 소유자요, 한 마리의 이리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민사회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는 연약한 인간이다. 하리 할러가 경멸하는 시민사회의 시대적 배경은 1차 세계대전 이후의 세계이나 오늘날의 시민사회 역시 하리 할러의 시민사회와 별반 다르지 않다. 그 당시에 재즈가 있고 전쟁이 있었다면, 오늘날에는 수 없이 많은 팝이 있고 물질적 부를 둘러싼 전쟁이 여전히 존재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여전한 시민사회라는 공통적 조건 속에서 하리 할러처럼 미칠 수도 있는, 혹은 미치고도 싶은 욕망에 사로잡히게 되는 것이다.

 

 

헤세는 인간이라는 존재들에게서 더욱 유별난 영혼이라는 것의 광부이자 선장이고 탐험가이다. 세계에 대한 경멸과 소외의식으로 인해 부유하는 영혼을 구원하는 것이 그의 목적처럼 보인다. 이 영혼의 소유자는 고귀하고 고상하다. 그는 결코 세계와 한 번도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가 없었고 앞으로도 영원히 그럴 것이다. 그래서 그는 이 감당할 수 없는 진지함이란 무게를 고작 농담으로 덜어내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고귀한 영혼이 시민사회와 위선적인 방법 이외에는 화해할 수 없다는 사실, 그는 영원히 부유하며 사회에 소속되길 거부할 것이라는 사실, 이 사실로 인해 야기되는 불편함이 여전히 남는다. 세계의 전쟁과 분란을 막아낼 수 있는 방법은 하리 할러라는 고귀한 영혼의 부유하는 목소리가 아니라 바로 따분하고 덜 미친 시민사회일 수밖에 없는 것이 아닌가. 시민사회 안에 잠재되어 있을 힘을 통해서만이 가능한 것이 아닌가. 의구심에 가득한 목소리가 메아리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