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놀라운 하나님의 은혜
필립 얀시 지음, 윤종석 옮김 / IVP / 200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Book] 놀라운 하나님의 은혜 -필립 얀시
싫다. 정말 오지게 싫다. 뭐가? 서점가를 배회하는 수천 수만의 유령들. '나는 이렇게 성공했네' 류의 자뻑충만 도서, '이렇게 하면 돈 잘버네' 류의 사이비 컨설팅 도서, '이렇게 저렇게 살아라' 류의 새디스틱 훈계도서. 아주 그냥 제목만 들어도 닭살이 오소소.
'집 팔아서 땅을 사라' '애들은 대치동 엄마들처럼 키워라' '웰빙해라' '몸 만들어라' '느리게 살아라' '7가지 습관을 익혀서 성공해라' '밥은 굶어도 돈은 모아라' oh my god! 그렇다면 '진실로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너는 가서 '집 팔아 대치동에 땅을 산 다음에 애를 낳고 매일같이 요가를 수행해 몸을 만든 후 매우 느린 속도로 7가지 습관을 익히는 동시에 밥을 굶으면 돈이 생길 것'이다. 아멘.
교회에서 전도사 형제님과 교회 안에서 동성애가 허용이 되느니 마느니 하는 문제로 모처럼 한 따까리 하고 씨근덕거리는 내게 이 책을 빌려준 K누이의 의도 때문이다. 솔직히 뻔한 거 아닌가. 필시 그녀는 논쟁에서 나와 반대 방향에 앉아있었고, 그렇기 때문에 어떤 '훈계'가 하고 싶었으나 대 놓고 하기에는 화목한 교회의 평화가 저해된다고 판단 했을 터. 그래서 선택한 것이 점잖은 책을 통한 감화정책. 정치색을 띠고 내 손에 들어온 이 책이 내게 이쁘게 보이리 만무하다. 보나마나 '순종' 이 어떻고 하는 '조신하게 믿어라' 류의 책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책의 저자 '필립얀시'. 내가 별로 안 좋아하는 복음주의 진영의 컬럼리스트 아니던가.
그래서 마지 못해 펴들었는데, 이럴수가. 놀랍게도 제법 읽어볼만한 내용이다. 생각했던 것 보다 촌스런 예수쟁이 냄새가 안 나는, 마치 눈이 그물그물한 할아버지가 화롯가에서 조근조근 풀어놓는 옛날 이야기 같았달까? 그러니까 이 책의 최대 장점은 '은혜'라는 신학적 개념을 학문이 아니라 이야기로 풀어내는 힘이다. 그 한 주제에 관한 한 그의 성찰은 분명 깊고 넓은 것이었다.
사실 '감사'라는 교회 사투리를 문자로 찍 써 놓고 나면 얼마나 감이 안 잡히는가. 왜 감사를 해야 하냐고 물어보면 그것 또한 얼마나 감이 안 잡히는 것인가. 하지만 이야기가 갖는 힘을 이용하면 낮은 수준에서도 어려운 개념들을 이해 시킬 수 있다. 마치 셰헤라쟈드의 천일야화처럼 살의를 품은 임금도 순한 양으로 만들어 버리는 이야기의 힘이다. 예수도 학적 개념이 아닌 비유적 이야기로 진리를 설파했다. 2000년을 이어 내려오고 있는 성경의 힘은 이야기의 힘이다.
하지만 K가 내게 이 책을 준 목적은 안타깝게 달성되지 못했다. 복음주의적 시각으로 동성애를 해석하는 얀시의 수준은 겨우 성경이라는 틀 안에서 기존 권력이 장악하는 헤게모니를 방어하는 수준이지 그것을 신학과 세상 안에서 정당화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쓸 정도가 되기에는 함량미달이다.
이것은 그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컨텐츠가 "육체에 흠 있는 자는 그 하나님의 식물을 드리려고 가까이 오지 못할 것이라. 무릇 흠이 있는자는 가까이 못할지니 곧 소경이나 절뚝발이나 코가 불완전한 자나 지체가 더한 자나 발 부러진 자나 손 부러진 자나 곱사등이나 난쟁이나 눈에 백막이 있는 자나 괴혈병이나 버짐이 있는 자나 불알상한 자나... (레위기 21:17~20)" 라는 말씀을 그대로 신봉하던 중세 수준에서 오랫동안 업데이트가 안 되었음을 의미한다.
그것이 단적으로 들어나는 예가 현대 영화를 은혜롭게 해석하는 대목에서다. 얀시 曰 "포레스트 검프는 도스토예프스키의 백치의 현대판이라 할 수 있다. 불러일으킨 반응도 비슷했다. 그 영화를 단순하고 황당하고 교묘히 사람들을 조종하는 것으로 본 사람들도 있지만, 그 속에서 "펄프픽션"이나 "내츄럴 본 킬러"의 잔혹한 비은혜를 깨끗이 상쇄해준 은혜의 루머를 본 사람들도 있다. 그 결과 "포레스트 검프"는 당대 최고의 성공작이 되었다. 세상은 은혜에 굶주려 있다."
아니, '은혜'롭기 때문에 '펄프픽션'과 '본 킬러'의 '비은혜'를 마구 '상쇄'해 주며 '당대 최고의 성공작'이 된 '포레스트 검프'.라.. 영화 팬 입장에서 가슴을 치며 한탄할 얘기다. 타란티노의 '펄프픽션'을 '내츄럴 본 킬러'와 단지 '잔혹하'다는 이유로 묶어 '포레스트 검프'와 대조하다니. 이건 운동선수라는 이유로 펠레와 마이클조던을 묶어 미셸 콴이랑 권투로 2:1 맞짱을 뜨게 하는 것과 같은 이치가 아닌가. 사실 영상이 주는 잔혹함을 충격량으로 계산한다면 언뜻 봐도 포레스트 검프의 베트남 전쟁 장면은 어디 내어놔도 빠지지 않을 장면일게다.
사실 이것 말고도 율법주의를 자신의 복음주의에서 의식적으로 배제하려고 애는 쓰지만 결국 그것을 버리지 못하고 논리적으로 전전긍긍하는 필립 아저씨의 귀여운 모습은 이 책의 백미중 하나다. 231~232p 등등등. 이런 은혜로운 얀시 아저씨의 삑사리를 발달 심리학적으로 해석해 보려는 나의 시도는 안타깝게도 길게 쓴 글을 날려먹는 바람에 게시하지는 못하게 됐다. 아무래도 착한 아저씨 너무 놀려먹지 말라는 주님의 뜻이리라. 이런 것이 바로 은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