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하는 기타, 천일의 노래 - 빅토르 하라와 누에바 깐시온
배윤경 지음 / 이후 / 2000년 9월
평점 :
품절


체게바라를 추모하는 영상에서 그의 노래를 처음 들었다. "comandante Che Guevara"를 부르던 그의 기타는 격정적인 춤이었고, 추모를 담은 그의 노래는 사랑에 벅찬 고백이었다. 우리의 추모곡과는 전혀 다른 추모의 노래, 속도감 때문에 경쾌함 마저 감돌던 그의 노래를 들으면서, 가보지 못한 남미의 바람과 영상에서 보던 푸른 바다를 보았다. 

’산티아고에 비는 내리고’였던가? 화면에 비가 내리던 영상 속에서 만난 칠레 혁명. 1973년 거리를 피로 물들이며 칠레 민중들의 민주화에 대한 기대와 꿈, 그리고 천일의 짧은 실현을 짓밟는 군화와 총탄 속에 빅토르 하라도 있었다. 

<노동하는 기타, 천일의 노래>는 빅토르 하라의 작은 평전이다. 산티아고의 변두리 가난한 마을에서 태어나 노동하는 엄마의 품에서 칠레의 민요와 남미의 선율과 리듬을 익힌 빅토르 하라. 유판키와 메르세데스 소사가 시작한 남미의 노래운동인 누에바깐시온의 과정에서 비올레타 빠라의 노래를 듣고 누에바깐시온에 참여한 절열의 사람이며 가수였던 빅토르 하라는 칠레와 깊었으나 짧은 사랑을 하고 독재자의 총에 생을 마감했다. 가수였지만 혁명하는 가수로 살겠다는 그의 선택이 아옌데 대통령이 게엄군에게 포위되던 날 군인들에게 둘러쌓인 국립대학으로 이끌었다. 조국을 사랑한 그에게 그의 노래를 사랑하는 것으로 답했던 민중들이 보는 가운데 ’Venceremos’를 함께 부르며 스러진 것이다.


Venceremos!!벤세레모스!
 

Desde el hondo crisol de la patria 조국의 깊은 시련으로부터
se levanta el clamor popular, 민중의 외침이 일어나네
ya se anuncia la nueva alborada 이미 새로운 여명이 밝아와
todo Chile comience a cantar. 모든 칠레가 노래 부르기 시작하네
Recordando al soldado valiente 불멸케 하는 모범을 보여준
cuyo ejempla lo hiciera inmortal 한 용맹한 군인을 기억하며
enfrentemos primero la muerte, 우리는 죽음에 맞서
traicionar a la patria, jamas! 결코 조국을 저버리지 않으리
 
(후렴)
Venceremos, venceremos, 우리는 승리하리라, 우리는 승리하리라
mil cadenas habra que romper. 수많은 사슬은 끊어지고,
Venceremos, venceremos, 우리는 승리하리라, 우리는 승리하리라
la miseria sabremos vencer. 우리는 비극을 이겨내리라
 
Campesinos, soldatos y mineros, 농부들, 군인들, 광부들
la mujer de la patria tambien 그리고 이 땅의 모든 여성과
Estudiantes, empleados, obreros, 학생, 노동자들이여
cumpliremos con nuestro deber. 우리는 반드시 이룩할 것이다
Sembraremos las tierras de gloria, 영광의 땅에 씨를 뿌리자
socialista sera el porvenir, 사회주의의 미래가 열린다
todos juntos seremos la historia; 모두 함께 역사를 만들어 가자
a cumplir, a cumplir, a cumplir! 이룩하자, 이룩하자, 이룩하자

천일의 시간, 3년의 아옌데 집권 시절 노래로 저항하던 이들이 비단 빅토르 하라만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독재자 피토체트의 군화발은 수많은 누에바깐시온의 음악과 음반, 마스터 음반까지르 모두 없애버렸다. 요행 영국 국적을 가진 빅토르 하라의 부인 조안 하라가 구데타의 소용돌이에서 빅토르 하라의 마스터 음반을 숨겨 칠레를 빠져나온 까닭에 그의 노래는 남아 지금까지 전해지며 세계의 가슴을 울리고, 공감을 부르며 살게 되었다.

짧은 생을 살았지만, 남미의 민요를 찾아 전국을 다니며 민요를 체취하고, 연극과 연출을 연구하고 작품을 무대에 올리기도 했던  ’예술가’로서의  삶의 방식은 깊은 시사를 던진다. 그의 예술이 꽃 피운 것은 시와 노래에서였지만, 그 노래와 시가 보편성을 획득할 수 있게 한 토양은 경계없이 변화하는 그의 삶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예술에 대한 환상과 편견은 기이한 행동을 해야 예술가라는 잘못된 인식을 퍼뜨리곤 한다. 하지만 예술가의 참된 면모란 기이한 행동과 무조건적인 이탈이 아니라 빅토르 하라와 같은 넓고 깊은 세상에 대한 사랑과 사람에 대한 탐미가 아닐까 생각한다. 어떤 편견도 내세우지 않고, 어떤 강제와 억압에 굴하지 않고, 자신의 눈과 귀로 세상과 사람들을 향하고, 그에 깃든 삶과 사랑을 노래하는 것이야말로 예쑬가가 품어야할 풍모라 여기기에 빅토르하라의 삶에서 더욱 깊은 인상을 받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