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학 - 박사와 루트 그리고 나의 이야기
오가와 요코.후지와라 마사히코 지음, 김난주 옮김 / 이레 / 200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수학>은 <박사가 사랑한 수식>을 낳게 한 수학자 후지와라 마사히코와 작가 오가와 요코의 대담을 엮은 책이다. 수학자들은 어떤 삶을 살며, 어떤 태도와 집념으로 수학의 세계를 일궈 온 수학자들의 이야기가 깊은 감동과 함께 담겨 있다.

수십년에 걸쳐 하나의 공식이나 정리에 매달려 변치 않는 진리를 찾아내는 수학자들의 삶은 그 자체로 고귀하다. 돈이나 지위를 바라지 않고, 오로지 감춰진 진리를 캐어내는 데 몰두하는 사람들. 이루지 못한 사랑일지라도 단 한사람을 향한 사랑을 오래도록 간직하는 사람들, 다른 사람들의 보는 방식이 아니라 창조적인 자신의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사람들, 그리하여 마침내 그 세상을 관통하는 진리를 찾아내는 사람들을 어찌 귀히 여기지 않을 수 있을까?

그 모든 것은 변하며 영원한 것은 오직 저 푸른 소나무라고 했던가? 내 기억 속 '진리'에 변치 않는 '실천'의 힘과 수백년이 지나서야 사람들에게 큰 빛으로 되기도 하는 수학을 함께 새겨야 겠다.

<아름다운 수학>은 흥미로운 이야기들도 담겨 있다. 노벨상에는 왜 수학상이 없는지? 아름다운 정리와 추악한 정리는 무엇인지 하는 이야기들 말이다. 그중에도 인상적인 것은 삼각형은 어느 곳에서는 내각의 합이 180도라는 것이다. 설사 우주의 어떤 공간에서도. 언어도 어떤 문화로도 전 우주를 통틀어 소통되는 것은 없지만, 수학의 공식과 정리와 수학의 법칙은 전 우주에 걸쳐 단 하나의 진리만을 남긴다는 얘기다. 참으로 아름답지 않은가? 
그렇게 보면 수학자들은 우주의 언어를 하나 하나 찾아가는 사람들이랄 수 있지 않을까? 그러고보면 상상력이 부족해서 수학자가 아니라 시인이 되었다는 시인의 고백에도 고개가 끄덕여진다.

아쉬운 것은 더 많은 수학 이야기가 있을텐데 <박사가 사랑한 수식> 속 이야기에 제한된다는 점이다. 더 많은 이야기를 듣기 위해 후지와라 마사히코의 책을 찾아보아야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