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빛 매드 픽션 클럽
미우라 시온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죽은 영혼을 안고 살면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 자존, 정체성을 잃고 사는 삶에 대한 실존주의적 고찰
 

<검은 빛>은 어두운 물 속 같은 소설이다.첫 장부터 마지막까지 읽는 과정은 마치 물큰하고 차갑고 부유물이 그득한 호수 밑바닥으로 서서히 가라앉는 느낌이다.

<검은 빛>의 주인공은 모두 한 차례씩 죽음을 겪은 사람들이다. 그들이 사는 모양은 눈은 뜨고 있지만 시야를 가리는 탁한 물 속을  버둥거리는 것 처럼 보인다. 버둥거리지만 힘이 없어 다시 솟아 오를 기미는 보이지 않고 그저 서서히 침몰할 뿐이다. 숨 막히는 삶은 너무 적막해서 자칫 평화롭게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점점 더 멀어지는 수면 위의 뿌연 불 빛을  하릴없이 바라보며 멀어져 가는 삶이다.

1. 파괴와 폭력을 선명하게 그리기

작은 섬 미하마에 살던 노부유키와 다스쿠, 미카는 이유도 없고 막을 수도 없는 죽음과 폭력을 겪는다. 미우라 시온은 하루 밤 사이 벌어진 커다란 재앙과 그 틈새에 벌어진 거역 못할 폭력을 거대한 수초로 독자의 시선을 휘감듯 써내려간다. 영혼을 잃고서 살아 남은 세 사람을 보며, 일본 화가 이께다 요오손이 그린 ’재화의 흔적’이 떠올랐다. 



죽음과 삶이 엇갈린 경계에 놓인 모습이 태초의 모습인 것 같기도 하고, 아무런 기대 없이 폐허 위에 빈 눈동자로 남은 듯도 한 세 주인공의 모습이 처연하다.

2. 사랑과 죽음의 줄타기

영혼 잃은 사람들의 사랑은 늘 죽음과 맞닿아 있다. 노부유키와 미카, 다스쿠와 나미코, 다스쿠와 노부유키, 다스쿠와 요이치 이들의 관계가 그렇다. 사는 것과 나란히 붙어선 죽음 사이에서 실낱같은 위로를 ’사랑’에서 찾는다. 실은 사랑이라 말하기도 어렵다. 성애에 대한 집착, 유대감에 대한 극한의 공복, 침몰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한 폭력과 얽어매기 등이 이들의 사랑의 방식이다. 수면 위에 떠 있는 뿌연 빛은 현실에는 다시 없다는 뼈 아픈 인식이 선택하는 몸부림에 가깝다.

이들의 사랑을 그림에서 찾는다면 오스카르 코코슈카가 그린 ’바람의 신부’  쯤 된다. 



이미 회복할 수 없는 상처를 입은 사람들은 사는 것도 사랑하는 것도 할 수 없다. 작가 미우라 시온은 소설 속에서 노부유키의 생각을 빌어 이렇게 말한다..

   
  "동정이나 애정으로는 회복할 수 없는 상처가 있는 한,... 궁극적으로는 자기를 공복으로 몰아넣은 놈을 찾아 죽여서 굶주림을 채우거나, 공복을 받아들이고 죽음을 기다리는 방법, 둘 중 하나뿐이다. -280쪽-"    
   

이미 영혼을 잃은 사람이 선택할 것은 죽이느냐, 죽느냐 둘 중 하나라는 얘기다.


3. 미우라 시온은 왜 이런 소설을 썼을까?

작가는 지독하게 어둡고, 밝은 것이란 한 점도 없는 이런 소설을 왜 썼을까? 폭력과 살인이 부르는 재앙에 대한 경고였을까? 작가 근본에 있는 허무주의가 이런 이야기를 만들었을까?
책에는 작가의 설명 글이 없다. 어떤 의도로 썼는지 밝히지 않으니 추론 할밖에 없다.

<검은 빛>은  현대 사회를 수 많은 은유로 엮어낸 소설로 보인다. 기존의 질서와 관계, 공동체를 단 한번의 쓰나미로 삼켜버린 사회, 개성, 사람에 대한 존중, 가치는 눈을 씻고 찾아봐도 보이지 않는다. 남은 것이라고는 붕괴의 조짐이 곳곳에 있는 가정과 일자리로 이어진 불안한 동선 뿐이다. 사랑은 성욕과 역할에 대한 분담만 남기고 사라졌다. 생존을 위한 경쟁은 삶 속에 깊이 뿌리 내렸다. 언제든 (죽음으로)밀려날 것을 염두에 두고 산다. 다른 누군가를 죽이든지, 아니면 조만간에 밀려날 때를 기다리면서 사는 의미를 모르고 살아가든지 둘 중 하나다.

   
  "죄 같은 건 어디에도 없다. 있는 것은 불합리와 폭력 뿐이다. -264쪽-"  
   


아무일도 없었던 듯이 생활로 돌아와서 피부처럼 붙어 있는 보일 듯 말 듯한 미소를 붙이고, 가정과 일터로 돌아 온 노부유키의 모습을 보면서 나름의 해석에 확신을 더한다.

’그 날, 덮쳐오는 쓰나미를 얼려버릴 수 있었다면’ 나즈막히 내뱉는 노부유키의 한숨이 가슴에 스산한 바람을 일으켰다. 소설 속에서 벌어지는 극한의 폭력이 천연덕스럼게 재생되는 현실을 뉴스와 사람들 사는 모습에서 본다.

<검은 빛>. 무겁고 음습하지만 잘 된 소설이다. 또, 이영미 씨의 좋은 번역에도 박수를 보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