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도가니>는 그냥 오늘이고, 현실이다. 소설 속 사건이 충격적일 것은 없다. 그러나 충격이다.  내가 인상 찡그리고 비껴 지나친 끔직한 현실을 눈 앞에 열어 보여주기 때문이다.

거짓의 도가니에는 기만과 부패와 폭력이 필연적으로 따라 들어선다. 돈과 협잡과 위선으로 만든 철옹의 권력이 서고, 그와 연관된 것들이 카르텔을 맺고 ’이대로~’를 외치며 맴돌면서 소용돌이의 눈을 만든다. 거짓의 도가니 안에서는 타락과 부패의 맴돌이와 같은 방향으로 돌면 아무 문제 없다. 보라고 눈에 띄게 놔 둔 것들만 주목하고 생각하면서  살면 그뿐이다. 자칫 의혹이 생길만한 일은 권력의 손끝에서 뿜어져 나오는 짙은 안개가 장막을 쳐서 가려준다. 연약한 죽음조차도.

허나 안개 속은 그저 적막하게 고여 있지 않았다. ’짙은 안개 속에서 무언가가 끓어오르기 시작했다.’고 공지영 작가는 희망의 메시지를 던진다. 불의의 도가니에서는 아무런 존재감 없이 하찮게 버려져 있던 이들이 그들에게도 ’말 ’이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 누군가 그들의 말에 눈을 맞추기 시작하면서 부터다.

청각장애인 학교 기간제 교사 강인호와 인권단체에서 일하는 신유진이 그동안 아무도 귀 기울이지 않으려 했던 ’말’에 귀를 기울였다. 귀를 기울인 순간 온통 먹통처럼 탁해서 얼마나 썩었는지도 분간할 수 없던 도가니에 한 줄기 빛이 들어왔다. 그 가느다란 빛줄기는 비로소 무진시와 자애학원과 무진을 움직이는 권력이 얼마나 어떻게 오염됐는지 드러내 보인다.. 그리고 가당치도 않은 싸움이 시작된다.

   
  “그들이 원하는 것은 정직도 정의도 아무것도 아니에요. 어쩌면 그들은 더 많은 재물은 가끔 포기할 수 있어요. 그들이 진정 원하는 것은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 거예요. 한번만 눈감아 주면 다들 행복한데, 한두 명만 양보하면-그들은 이걸 양보라고 부르죠-세상이 다 조용한데, 그런데 당신은 지금 그들을 흔들고 있어요. 그들이 가장 싫어하는 변화를 하자고 덤빈단 말이지요.”
- 본문 255쪽 -
 
   

   
  “세상 같은 거 바꾸고 싶은 마음, 아버지 돌아가시면서 다 접었어요. 난 그들이 나를 바꾸지 못하게 하려고 싸우는 거예요.” - 본문 257쪽 -
 
   

나를 바꾸지 못하게 하려는 <도가니> 안의 싸움은 용산이고, 쌍용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