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너리티 리포트 필립 K. 딕의 SF걸작선 1
필립 K. 딕 외 지음, 이지선 옮김 / 집사재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소위 SF 소설을 일부러 구해 읽은 것은 처음이다. 헐리우드 SF 영화 영향 때문에 생긴 SF에 대한 오해 때문이었다.  꼭 그런 것만은 아니라는 이야기와 필립 K 딕 소설을 읽기 권하는 최세진 씨의 책을 읽으면서 주문했다. SF는 내가 잘못 알고 있던 것처럼 물리나 자연과학에 근거한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 인문과학이나 사회과학에 근거한 SF도 있다는 것은 덤으로 알게 된 사실이다.
물론 과학을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 허나 세상에는 순수과학을 가장한 이데올로기 순응 과학이 많을 분이고, 그런 과학은 막무가내의 성장 이데올로기나 군사 이데올로기에 오염되기 십상이고, 인간의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라기 보다는 특정 자본의 이윤을 살찌우는 과학이 되곤 하는 게 범례이다 보니, 다양한 경로로 오해의 근거들을 많이 축적했을 뿐이다.

아무튼,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사회과학 SF 소설이다. 물론 미래사회를 구동시키는 과학 기술에 관한 상상과 언급도 소설의 이야기를 진전시키는 요소이기도 하다. 그러나 주된 동인은 사회과학적 고찰과 그에 근거한 상상력이라고 볼 수 있다.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단편소설 모음이다. 첫번째 이야기인 '스위블'은 소름이 끼쳤다. 사람들의 뇌에 잠식해서 단일한 이데올로기와 가치관, 그리고 감성을 조작해내는 유기체라니. 다 읽고 난 후에도 마치 내 주변 어딘가에 스위블이 돌아다니는 것 같은 꺼림직한 상상이 따라다녔다. 아니 실재하는 스위블의 그림자를 보았다는 게 맞겠다.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에 반하는 글을 썻다고 구속이 되는 일이나, 대통령의 심기를 거슬리는 평화적인 집회와 시위가 엄격하게 제한되는 일이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코드가 맞지 않는다고 한예종의 수업내용과 총장을 비롯한 교수진들을 압박하는 오늘은 스위블이 번성하는 시대와 닮아있다.

항상성을 유지하는 로봇 대통령이 지배하는 사회를 그린 '완벽한 대통령'은 권력을 잡는 순간 권력을 지키기 위해 온갖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는 인간의 탐욕을 이야기 한다. 컴퓨터 분석으로 사람들의 내일의 선택을 통제하는 '마이너리티 리포트'는 '나쁜 이해' 잘못 된 이해가 끌고가는 일방의 가치 독식 사회를 보는 듯 하다.  인간의 존엄을 전쟁에 빼앗긴 채 가상의 세계에 모든 것을 걸고 살아가는 전쟁 후 생존자(행운아)들의 이야기  '퍼키팻의 전성시대'는 마치 현실의 경쟁에서 도태되어 자신의 정체성을 잃고 컴퓨터 속 가상의 세계에 몰입해서 살아가는 히키코모리를 연상시켰다.

<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등장하는 이야기 속 22세기는 암회색이다. 전쟁으로 인한 파괴의 먼지가 덧 쌓여있으며, 인간은 정체성 혼란으로 곤란을 느끼고, 우주로까지 확장된 사회를 통제하려는 권력은 온갖 기술과 도구와 제도의 자기증식으로 사회의 숨통을 조인다.
필립 딕이 살았던 20세기의 파시즘과 인간성을 상실한 자본주의는 그에게 22세기를 암울한 색조로 채워 그리게 했을 것이다.

그가 보내는 경고 신호를 소름 돋는 섬뜩함으로 읽으면서 사람의 존엄이 훼손되지 않는 미래를 더욱 간절하게 그려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