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어디 가?
장 루이 푸르니에 지음, 강미란 옮김 / 열림원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국 나는 속물이고 이기적이다. <아빠 어디 가?>를 읽으며, 내 아이가 장애가 아닌 것이 다행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아빠 어디 가?>는 소설의 방식을 따르고 있지만, 소설이 아니다. 작가가 장애를 가진 두 아이들에게 하고 싶었던 이야기이며, 그 아이들을 키우며 겪은 삶의 고백이다.
장 루이 푸르니에는 <아빠 어디 가?>를 통해 장애를 가진 마튜와 토마를 웃음 섞어 말했다. 책이 아니라 장 루이 곁에서 마튜와 토마의 이야기를 듣고 있는 거였다면 어떤 표정을 지어야 할지 몰라 내내 불편했을 것이다. 그가 웃을 때 따라 웃지 못하고, 차마 "당신의 아픔을 조금은 알 것 같아요." 하는 표정은 지어 보일 수 없어 난감했을 것이고, 무언가 말을 해야 할 것 같아 안절부절 하다가 그저 "힘 내세요." 하고 개미만한 소리로 이야기 했을 것이다.

   
  이제 그만 좀 구시렁거려야겠다.
장애를 가진 아이들의 얘기를 할 때면, 마치 무슨 큰 변이라도 당한 듯 사람들은 사뭇 심각한 분위기를 만들곤 하지. 그래서 난 미소를 지으며 내 아들들의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 너희들은 날 많이도 웃게 만들었지. 그것이 꼭 원해서 그런 것만은 아니지만...
너희들 덕분에 난 평범한 아이를 가진 부모들이 못누린 혜택을 받기도 했었단다. 이를테면 난 자식들의 학업 문제나 진로 걱정으로 골치가 아파본 적이 없어. 이과로 보내야 하나, 아니면 문과로 보내야 하나를 두고 심각하게 고민을 해본 적도 없고 말이다. 너희들이 커서 어떤 일을 할까 생각하며 머리를 싸매본 적도 없단다. 엄마와 난 미리 그 답을 알고 있었거든. 우리 아들들은 아무 일도 할 수 없을 것이란 걸 이미 알았던 거야.   - 본문 p9~10 -
 
   
 
일년 반동안 사고로 중증 장애를 입은 한 언니의 활동을 보조한 적이 있다. 이십대에는 깔끔하고 총명하던 그 언니는 목발을 짚으려 해도 손이 너무 떨려 제대로 일어서지 못하는 장애인이 됐다. 그 언니의 아버지는 동네 창피하다며 문 밖 출입을 막았다. 봄 경치를 좋아하던 언니는 꽃 피는 봄을 집 바깥에서 보고 싶었다. 부들 부들 떨리는 팔로 목발을 짚고 바깥 구경에 나서다가 계단에서 굴러 얼굴을 다치기도 하고, 앞 니를 부러뜨리기도 했다. 그렇게 다치고도 밖으로 나가고 싶은 마음은 가라앉지 않아서 내게 나들이를 도와달라는 청을 했다. 차를 가지고 있지도 않았고, 운전도 할 줄 모르는 내가 한 시간 거리 공원으로 그 언니와 나들이를 가는 일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물론 나들이를 가서도.

아이를 낳고 2개월이 되던 때, 예방접종을 위해 병원에 갔다. 검진을 하던 의사가 아이 심장에 이상이 있는 것 같으니 큰 병원에 가 보라고 했다. 소아 심장과가 있는 대학병원에 예약을 하고 검사를 했다. 검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2주간. 마음이 졸아드는 듯 했다. 다행히 성장과정에 있을 수 있는 증상이고, 아무 문제 없을 거라는 이야기를 듣고 가슴을 쓸었다. 그 후에도 아이가 다치거나, 귀가 잘 안 들리는 듯 하다거나, 시력이 떨어지는 걸 느낄 때마다 불안을 달래며 병원을 드나들었다. '다행히 우리 아이는 건강하다.' 는 소리를 뱉고 장루이의 글을 보며 마음이 엉겨버린다.

   
  "장애아는 하늘이 주신 선물이야."
웃으려고 하는 소리가 아니다. 그리고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은 장애아를 가진 부모가 아니다.
이런 하늘의 선물을 받으면 이렇게 말하고 싶어진다.
"아이구! 이러실 필요까지는 없었는데...."  - 본문 p43 -
 
   
 
 <아빠 어디 가?>는 읽기에 불편한 책이었다. 책을 쓴 장 루이가 어떤 마음으로 어떤 투로 글을 써내렸든지 불편했다.
내게는 장애인 후배들이 있고, 장애인 형님과 언니가 있다. 장애인 자립생활센터에서 일하는 이들 모두는 건강하고 아름답다. 마음결이 너무 곱다. 그들에게서 배울 때가 많다. 그러면서도 함께 공연이나 행사를 마치고 뒤풀이를 갈 때면 그들이 쉬이 갈 수 있는 지 어떤지를 미리 생각지 못할 때가 많다.

일상을 같이 하고, 오랜 시간 같이 해야 하는 부모와, 당사자와 나와 같은 3자 사이에는 이렇게 길고도 넓은 거리가 있다. 이 거리가 문득 맞이 하는 대면의 순간 당혹에 빠지게 한다.

   
  토마를 바라보거나 멀리 간 마튜를 생각할 때면, 과연 아이들을 만들어낸 것이 잘한 일인가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아마 아이들에게 물어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아이들이 느꼈던 작은 기쁨, 스누피 인형, 따뜻한 목욕물, 고양이의 부드러운 몸짓, 햇살, 공, 마트 산책, 타인의 미소, 장난감 자동차, 감자튀김....
이 모든 것이 있어 아이들의 삶도 살아볼 만한 것이었다면.... 하고 바라본다.
- 분문 p169 -
 
   

슬픈 장면이 아니다. 익숙지 않은 장면일 뿐이다.  본문 p193

<아빠 어디 가?>는 익숙지 않은 장면 앞에 서거나 익숙지 않은 상황에 맞닥뜨릴 가능성 있는 모두가 읽어볼만 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