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동네에 들꽃이 피었어요 푸른숲 그림책 30
카도 아쥬 글.그림, 엄혜숙 옮김 / 푸른숲주니어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오후 7시, 해 질 녘 무렵 아파트에서 아이와 본 그림책.


 식물을 좋아하고 그림책도 좋아하는 나에게는 선물 같은 책이다. 사실 내가 꿈꾸고 있는 책이 이런 종류이기도 하다. <우리 동네에 들꽃이 피었어요.>의 작가 카도 아쥬 처럼 그림을 잘 그리는 분들이 부럽다.


 제목처럼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들꽃들이 나온다.

 잡초라는 것, 사실은 우리가 그 식물의 이름을 하나하나 모르기 때문에 묶어서 부르는 것이 아닐까?
 농사 작물이 있는 곳에서 작물이 아닌 다른 식물은 잡초이고 방해가 되는 것들이다. 하지만 우리 생활에서 길가에 이름 모를 풀들은 우리가 힘들여 가꾸지 않아도 만날 수 있는 보물 같은 것이다.

 

 


 책에서는 초록이네 가족이 나온다. 아마도 씨앗을 옮기는 곤충의 일종이다.

가족으로 표현하고 의인화 시키니 식물과 곤충에 또 다른 생명을 불어 넣어 더 친근하게 느껴진다.


이 초록이 가족들은 길가에도 씨앗을 심고 보도블록이나 돌담 사이사이,


 


 길 가다 보면 이렇게 작은 틈 사이에서도 강인하게 자라는 초록이들을 만난다.

그냥 지나칠 수 없다. 사진을 꼭 찍게 된다.


하늘과 초록이를 같이 보면,

그야말로 힐링이다.


 사람마다 성격이 다르듯이, 식물들도 양지, 음지 식물이 있다. 자신의 생육조건에 딱 맞는 곳에서는 이렇게 탐스럽게 꽃을 피운다. 참 예쁘다.

 


저런 곳에서 살 수 있을까 했던 곳에서 나무가 자라고 있었다.

 


<우리 동네에 들꽃이 피었어요> 이 책에서 식물을 보는 시선은 나와 비슷했다.

 


많이 볼 수 있는 식물들.

 


어떻게 저런 곳에서 자라지? 했던 곳에 씨앗을 심는다.

 


한 장 한 장 넘길수록 내가 바라던 책이라 더 마음에 들었다.

뱀딸기, 괭이밥, 냉이는 정말 자주 보는 아이들이다.

은꽃은 냉이를 꺾어서 하트 모양 잎을 조금씩 내려서 흔드는 걸 좋아한다.

귀 근처에서 흔들면 초록 종이 완성된다.

 


마지막 장에는 식물들에 대해 작은 설명도 나온다.



아이들과 함께 다닐 때, 대화 나누기 참 좋은 주제,

식물이다.


엄마가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더 재미있는 초록세상을 만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