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라는 여자 - 그리면 그릴수록 그리운 그 여자
마스다 미리 지음, 안소현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엄마에 대한 이야기를 이렇게도 따뜻하게 풀어낼 수 있을까.
사람마다 모두 다르듯 엄마와의 관계도 모두 가지각색일 것이다. 우리집 사남매만해도 그렇다. 엄마는 한분이신데 각자가 기억하는 엄마는 모두 다르다. 엄마도 다르게 대하셨겠지만. 나에게 있어 엄마에 대한 기억은 김형경의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에서 세진의 엄마와 비슷하다. 그래서 한 동안은 부정적인 기억, 상처받은 기억들을 많이 떠올렸다. 얼마 전에는 상담을 받으면서 엄마와의 묵은 관계를 청산하는 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그런데 이 책 덕분에 머릿속 어딘가에 있던 소소한 기억들을 찾아내기 시작했다.
준비물을 두고 와서 엄마가 가져다 주셨던 기억, 비오던 날 데리러 오셨던 기억, 행여나 딸이 버스를 잘못 타고 갈까봐 중학교 1학년을 학원에 데려다 주셨던 기억 등등 새록새록 떠올랐다.
최근에 읽었던 [내마음을 만지다]라는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그 모든 것이 우리 엄마만의 사랑표현방식이라는 것을 말이다.
원래 예민한 성격인 나는 강하게 표현하시는 우리 엄마의 사랑표현을 상처로 받아들였다. 시간이 흐르며 덮여져있던 그 상처는 내가 아이를 키우면서 다시금 드러났고, 나도 혹시 아이에게 상처를 주지 않을까 두려움이 떠는 엄마가 되어갔다.
이 또한 내가 아직 자존감이 낮은 엄마이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작가 마스다 미리는 자존감이 높은 딸일 것이다.엄마와의 일상이 자신의 인생 최고의 행복이라 표현하고 있으니 말이다.
작가의 엄마는 남편보다 딸과의 여행을 더 좋아한다고 한다. 한번도 엄마와 단둘이 여행을 떠나본 적이 없는 나이기에 부러웠다. 작가의 여유가, 엄마와의 두터운 친밀감이.
책장을 덮은 후 하나는 우리 딸에게 꼭 해주기로 결심했다. 잠자기 전에 원하는 만큼 책읽어주기로 말이다. 항상 내가 피곤하고 귀찮다라는 핑계로 아이와 책 수를 협상하곤 했다. 어떤 날에는 아예 읽어주지도 않았다. 작가의 엄마처럼 해줄 수는 없지만, 우리 딸에게는 마음에 들 때까지 책 읽어줬던 엄마로 기억되고 싶다.
따뜻함이 묻어나는 이야기, 그리고 소소함이 담긴 카툰까지
작은 선물상자를 열어본 기분이 든 책
[엄마라는 여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