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 클로저 - 나를 안전하게 지키면서 세상과 가까워지는 심리 수업
일자 샌드 지음, 곽재은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1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서 다루는 자기보호란 스스로를 현실과 차단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수단이다.


7쪽
다른 사람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자신의 내면을 외면해버린다. 행동의 측면에서 보면 '자기 보호 전략'이란 내가 내적 또는외적인 현실을 외면하고, 타인에게 친밀하고 가깝게 다가가는 것을 방해하기 위해 하는 모든 행동들을 가리킨다. 그리고 이 일은 의식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더 흔하다.



지난 주 세 권 책을 번갈아가며 읽고 있었다. 가족의 발견, 가족상담 및 치료 그리고 이 책 '컴클로저'다. 제목은 다르고 각각 책이었는데 이어지는 느낌이었다. 가족 관계 속에서 개인을 떼어놓고 볼 수 없다. 그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살고 있다. 어떤 가족, 부모였느냐에 따라서 내 방어기제도 달라진다. 목차에 포스트잇 플래그를 붙여놓고 목차 흐름을 하나씩 읽어가면서 내용을 보았다. 전체적인 흐름을 훝어보면 이렇다. 총 1장에서 6장까지 있는데 1장에서는 자기보호란 무엇인지 상황별로 설명한다. 2장에서는 연인관계에서 자기보호이다. 3장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자기 보호,  4장은 인간관계에서 자기 보호를 짚어본다. 그리고 5장에서는 자기보호를 허무는 방법을 설명하며 6장에서는 지금 그대로 나 자신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말한다. 순서대로 읽다가 보면 어떤 장면에서는 나도 이런데, 그래서 그랬구나 고개를 끄덕이며 읽게 된다.

35쪽
심리내적 자기보호 : 내면에 싹튼 두려운 감정, 생각, 욕망으로부터 자기 자신을 보호하려는 것
대인적 자기보호 : 지나치게 가까이 다가오는 상대방으로부터 나를 보호하는 것

37쪽
어떤 사람에게는 대인적 자기보호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필요할 수 있다.유난히 민감한 성격의 사람들(HSP)이 그렇다. 이런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친밀한 행동이나 관심에 일일이 반응하기가 이따금 힘에 부칠 때가 있다. 그런 친밀한 행동과 관심에 반응할 만한 에너지가 내면에 하나도 남아 있지 않은 순간도 있다. 바로 이럴 때 자기보호가 필요하다. 이런 경우 자신을 어떻게 보호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 좋다. 

극도로 민감한 사람들은 상대방에게 어느 정도까지 신경 써야 하는가를 두고 자기 자신에게 지나치게 많은 요구를 한다. 다른 사람의 일에 관여하는 것이 힘들 때는 이따금 뒤로 물러나 있어도 괜찮다. 하지만 이런 유형의 사람들은 자신이 상대의 호의에 부응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을 잘 받아들이지 못한다.

38쪽
다른 이들을 과도하게 밀쳐내는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내가 어느 정도로 나 자신을 지키는 선택을 했는지를 자각하는 게 중요하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 언제 누구와 얼마만큼의 거리를 둘 것인지를 내가 직접 선택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연애를 못했던 이유67쪽

소중한 것을 잃어버리는 슬픔을 두려워만 하는 사람에게, 연애는 그야말로 위험천만한 일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상실은 고통스러운 일이지만, 상실이 두려워 연애 관계를 맺는 것 자체를 피하고 있다면 그 두려움의 근원에 다른 이유가 있는지 않은지 돌아보아야 한다. 그것이 자기보호가 자신을 방해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72쪽
연애 관계를 두려워하는 사람은 어떤 상실을 경험하지 않으려고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런 자기보호는 진정한 관계를 원하는 상대에게 상처를 주기도 하고, 자신이 진정으로 얻고 싶은 것을 얻지 못하게 방해하기도 한다.

82쪽
상처받지 않기 위해, 자신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우리는 이렇게 사랑이라는 감정을 오롯이 상상 속에서만 가둬 놓기도 한다. 누군가와 서로 거리를 좁히며 가까워지고 친밀해질 기회가 찾아와도 이런저런 방식으로 회피한다. 

87쪽
우리는 언제나 변화의 과정 가운데에 있다. 용기 내서 변화하는 삶의 흐름에 맞춰 현재의 이 순간을 살아야 한다. 어쩌면 변화하지 않을 때 관계에 더욱 문제가 생긴다. 

나는 좋은 부모인가


96쪽
 관심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다. 먼저 우리는 누군가가 잘 살아가고 있는지, 삶의 여러 영역에서 자신의 역할을 잘 해내고 있는지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가령 나와 함께 사는 배우자가 잘 지내고 있는지 충분히 궁금할 수 있다. 그것이 나의 기분, 나의 경제 상태, 나의 사회적 위신에 반드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세상의 모든 부모는 자녀가 잘 살고 있는지에 관심이 있다. 그래야 자신이 좋은 부모라고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99쪽
 또 다른 여성은 상담 과정에서 자신이 엄마로서 자녀에게 가졌던 관심이 '자녀를 위한' 것이 아니라 '자녀로 인해' 제3의 것을 얻으려는 관심이었음을 고통스럽게 깨달았다.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엄마가 되니까 제가 엄마 역할을 잘 해내지 못할까봐 덜컥 두려워졌어요. 아들을 볼 때마다 제가 제대로 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보여주는 표시들만 강박적으로 찾았고요. 아이가 슬프다고 하면 저는 그걸 제가 좋은 엄마가 아니라는 표시로 받아들였어요. 그래서 아이가 느끼는 슬픔을 함께 공감해줄 수가 없었어요. 아이의 슬픔에 세심한 관심을 주는 대신에, 아이를 기쁘게 만들어서 슬픔을 지워버릴 만한 수만 가지 활동을 찾아냈죠. 그 아이만을 위한 관심, 그 아이의 마음을 위한 관심을 기울일 여력이 저에게는 거의 없었던 거예요."

***자신이 부모로서 가진 결점을 발견하고는 몹시 애통해한다. 그러나 대게 이런 행동 또한 자기보호의 한 형태이다. 부모의 결점을 보지 않기 위한 방어행동인 것이다.(100쪽)
***부모라고 해서 모든 일을 잘할 수 있고, 잘해야 한다고 믿는 건 너무 위험한 생각이다. 어느 날 꽁꽁 감춰져 있던 현실이 민낯을 드러내면, 패배감과 위기감을 맞닥뜨릴 수밖에 없다.(102쪽)
***자기 부모를 무결점의 대단한 존재로 생각하는 것은 자기 자신도 부모와 똑같이 결점이 없다고 여기는 태도를 낳을 수 있다.(103쪽)

항상 다른 사람 탓을 한다.


투사 :  이미 내 안에 있는 문제나 앞으로 문제가 될 만한 측면을 인정하지 않고, 항상 다른 사람에게서만 부정적인 면들을 발견한다.(104쪽)
그들은 자신을 이상화하면서 스스로는 결코 느끼지도, 인정하려 들지도 않는 내면의 어두운 측면들을, 오히려 그와 가까운 사람들이 부지불식간에 자신의 짐으로 짊어지게 되기 때문이다.(105쪽)

***자기 안의 이런 기제를 자각하지 못할수록 우리는 파트너를 못살게 군다. 또 상대방이 본래의 자기 모습 그대로 자연스럽게 존재할 권리를 철저히 무시할 위험성이 커진다.
***어린시절에 결핍이 있었다는 사실을 우리의 무의식은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파트너에게 실제의 나와 내가 가진 기대치와의 차이를 메워서 내가 현실과 간극을 느끼지 않도록 보장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이다. 파트너가 이 요구를 충족해주지 못하면 온갖 분노와 불평을 고스란히 쏟아낸다. (124쪽)

***중요한 것은 내 안의 슬픔과 만나는 것이다.
스스로에게 슬픔을 느낄 기회를 주고, 그 슬픔을 말로 표현해보라. 그러면 슬픔이 나라는 사람의 일부가 되고, 나는 그것을 어렵지 않게 내 안에 지닐 수 있다. 또 친밀하고 안전한 관계를 맺은 누군가에게 내 슬픔을 보여줄 수 있게 된다.(186쪽)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고통으로부터 그리고 타인으로부터 거리를 두기 위해 엄청난 에너지를 쓰며 산다. 그러나 고통을 내 안으로 끌어들여 통합하고, 묻어두었던 슬픔과 갈망을 느끼도록 스스로를 허락하는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자유로워지는 길이다.(19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