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이화
조두진 지음 / 예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두진이라는 작가와 그의 작품

 

처음 조두진이라는 작가를 알게 된 계기는 '능소화'를 통해서였다. '능소화'에서는 두경북 안동의 무덤에서 발굴된 '원이 엄마의 편지'를 모티브로 삼아 두 남녀의 가슴아픈 절절한 사랑 이야기를 능소화를 써내었다면 '유이화'는 그와는 좀 다른 면을 지니고 있다. 사랑이라는 모티브를 중심으로 그린것은 맞지만, 이 작품의 시대적 배경은 조선시대 임진왜란 때이다. 실존인물 이진영이라는 사람을 모티브로 삼아 안철영이라는 허구적인물을 그려내어 그때의 상황을 겪은 것처럼 써내려갔다. 임진왜란 말기에 너무나도 비참한 조선인들의 생활고를 섬뜩할 정도로 표현해내었다.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살아야만 했고 죽지않는 몸뚱이를 원망해야만 했던 우리 역사의 빛나는 사람들. 그 분들 덕에 지금 우리가 이 자리에 있는건 아닌가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책 속 이야기에 마음놓기

 


안철영은 열이 펄펄 끓는아픈 아이에게 약 한첩 먹이기 위해 의원을 찾아 집을 나선다. 그러나 의원은 약을 챙겨서 그곳을 떠났고 왜구가 진주성을 둘러싸고 있다는 소리를 듣게 된다. 그는 왜군과의 전투에 참전하기 위해 진주성으로 향하는 일행들과 손을 맞잡고 진주성으로 들어가게 된다. 결국 전투에서 조선은 패하게 되고 살아있는 조선인들은 왜군들이 시키는 노역을 하게 된다. 그는 노역을 하면서도 가족걱정에 하루도 마음편할 날이 없다. 그러다가 반대편에서 밥을 퍼주다가 왜군에게 얻어맞는 여자를 보게 되는데, 그 여자가 아내 유이화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아이는 어쩌고 그곳에 있는지 그로서는 알 방 법이 없다. 그런데 어느 날 부터인가 유이화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던 중 왜장 아사노 유키나가가 한문을 잘하는 사람을 불러들이라고 하고 안철영은 왜장의 눈에 들어 그의 아들들에게 학문을 가르쳐달라는 제안을 받는다. 조선 여성들이 일본에 팔려갔을 수도 있다는 얘기를 듣고 아내도 일본에 팔려갔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그 제안을 받아들이고 일본행 배에 오른다. 유이화는 일본 농가에 농노로 팔려가 자신을 겁탈을 하려는 주인을 피해 달아나게 되는 중에 일본으로 오는 배에서 자신을 돌봐준 일본 병사 히로시를 만나 위기에서 구출당하게 된다. 시간은 6년이 흐르고 유이화는 안철영을 만나게 된다. 조선으로 돌아가자는 제안에 그녀는 "나는 어느 나라 사람도 아닙니다. 이 아이들의 어미입니다"라고 말을 하며 거절하게 된다. 뒤늦게 안철영은 오직 국가와 임금을 위해 생을 바쳤던 자신의 삶을 후회하며 이 책은 끝나게 된다.

 

 

 

유이화의 심정 대변하기

 

 

 "나는 어느 나라 사람도 아닙니다. 나는 이 두아이의 어미입니다."
"내가 다시 아이들을 잃어야 합니까?"
"... 죽어가는 아이를 바라보며 오지 않을 지아비를 기다린 세월을 아시는지요?

죽은 아이를 끌어안고 오지 않을 지아비를 홀로 기다리는 심정을 아시는지요?
이제 내 어린아이들이 오지 않을 어미를 기다리며 살도록 해야합니까?
나더러 이 아이들을 버리라고 하실 요량이면 차라리 죽이십시오.

오지 않을 어미를 기다리게 하느니 차라리 죽었다고 알려주는 편이 낫스니다. 죽이십시오.

나와 이 아이들과 아이들의 아비까지 이 자리에서 모조리 죽여주십시오. 나으리의 뜻이 그러시다면 그렇게 하십시오 ..."

 

p 323
 



 "나라... 그래서 나으리는 나라를 구하셨는지요?"
"그렇게 말하지 마시오! 어린애같은!"
철영은 아내를 위로하고 달래고 싶었다. 세월을 잘못만난 탓이었다.

세월을 탓하고 세월을 따라 잊어야했다

 

p 326


 

 

 

 

 

 

 

 

 

이화는 이렇게 가족보다 나라를 위한 삶만을 살아왔던 철영을 원망하는 마음이 이 말 속에 고스란히 담겨져있다.

 

 

 

역사 바로잡기

 

우리는 흔히 우리 역사는 어떻고 저떻고 이런 말들을 많이 한다. 하지만 역사를 바로 알기위해서는 많은 책들을 읽어보고 그 책들을 통해 피부까지 전해지는 그 아픔들을 고스란히 이해하고 나서야 그런 말을 할 수 있어야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