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 개정증보 3판
서중석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줄 평 : 좌편향된 한국 현대사를, 저자는 ‘객관성’이라고 일컫는다.





이 책을 읽기 전에 한 줄 평부터 써버린 것은, 책을 읽으며 매우 매우 매우 실망스러웠기 때문이다. 현대사는 짤막짤막하게 어떤 시대를 소설이나 역사서로 읽은 적은 있지만, 한국의 현대사를 나열하는 책은 중·고등학교 교과서를 끝으로 처음이다. 기존에 있는 내용에 새로운 내용들을 보태고, 이후의 일을 순차적으로 나열하는 개정증보 3판으로 되어있다고 하여 기대도 많이 되었던 부분이었다. 추천사를 쓴 이이화 씨 역시 이 책은 객관적 공정성을 살리려 애쓴 흔적이 역력하다고 하였다. 저자는 착각을 하고 있는듯하다. 이건 명백히 한쪽으로 치우친 자기 감상에 빠진 낙서장일 뿐이다.


참고로 책은 1945년 해방(광복절)을 시작으로 박근혜 정권이 들어선 직후까지 만을 기술하고 있다.



책에 대해 말하기 이전에 밝혀야 할 것이 있다.

너는 어느 쪽이냐라고 묻는다면 지지하는 당이나 사람이 없기에 자신만만하게 답변할 수 있지는 않다. 나의 이념은 보수의 기조에 더 가깝다고 말할 수는 있겠다. 하지만 나는 더 이상 보수를 지지한다고 말하진 않는다. 그저 주적인 북한으로부터 한국을 지키기 위해 국방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까지만 말한다. 개인적으로는 보수와 진보가 더 이상 서로를 헐뜯고 싶어 환장한 닭과 개가 아니라 서로의 이념들을 기반으로 상대의 이념을 추가 보완하여 국민들이 살수록 만족감이 들게 하는 그런 대한민국을 만들어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훨씬 크다. 물론 실현되기 힘들다는 것을 안다. 대한민국뿐만이 아니라 세계의 어느 나라에서도.

내가 생각하는 ‘대통령’이라는 직업은 ‘4년 계약직으로서 대한민국 국민의 대리인’의 그 이상로도 그 이하로도 생각해본 적 없다. 그렇기에 잘한 것은 잘했다고 인정해 주고 못한 것은 못했다고 욕도 해야 한다. 역대 대통령 중 어느 대통령을 지지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나도 언젠가 내가 지지할 수 있는 대통령이 한 번쯤은 나왔으면 좋겠다는 소망을 품고 산다.





1. 진보는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하나의 이념 정도로 말하고 있고, 보수는 반공독재, 극우, 극우반공 독재, 수구냉전세력, 친일독재 강경파 등등의 단어들로 기술하였다.

굳이 그렇게 기술을 해야 했는지 의아해진다. 또한 개인적으로는 반공이 왜 나쁘지? 공산주의의 이론에 따르면 한 마디로 ‘사회 모든 구성원이 재산을 공동소유하는 것’을 일컫는다. 공부 안 하고 일 안 하는데 돈 주면 누가 공부해? 누가 일해? 나 같아도 안 해. 일 슬렁슬렁하고 월급루팡인 사람들만 있으면 회사는 이윤이 있어? 그럼 우리 사회는 누가 발전시켜? 공산주의면 사회가 발전이 될 수 있나? 모든 것이 생각 차이고 입장 차 이일뿐인 것을.




2. 독재 개ㅆㅑㅇ마이웨이라서 욕을 먹어도 한참 먹어야 하는 박정희 정권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나 역시 매우 찬성한다. 하지만 인정하고 싶지 않아 죽겠다는 문장들이 여력하다. 하긴 서문에서도 경제를 발전시켰다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기술했으니 오죽했겠나. 하지만 이런 식으로는 안 되지. 373page에 ‘경부고속도로의 문제점’들을 기술하고 있는데,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되어 물류 이동이 원활해지고 수출이 늘어난 것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가장 우스웠던 것은, (그래 이건 우스웠다는 표현이 맞다.)

371page. 지나친 해외 의존도는 끝내 1997년 IMF (국제통화기금) 사태를 불러왔다. 고 기술해두었다.

IMF가 박정희 때문인가? 왜요?... IMF


박정희 때 경부고속도로 건설, 원전 건설, 남산타워 건설, 4 대 강 유역 다목적댐 건설, 강남과 여의도 개발, 지하철 개통 등으로 인해 건설경기가 살아났으며 국방력이 강화된 것은 물론이고 자동차, 반도체, 조선업, 중화학공업, 경공업, 철강산업, 제철산업, 석유가공 등의 성장도 무시할 수는 없으며, 1~5차 경제개발을 5개년 계획으로 전면 시행하기도 했다. 지금까지도 우리가 쓰고 있는 주민등록 제도를 시행시켰고 국민건강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 의료보호법 제정에 이어 아동 장애우 및 노인복지법과 같은 복지법 역시 그 시대에 제정되었다. 그런데 그것을 시대와 노동자 및 교육열 높은 국민들이 따라줘서 어쩌다 얻어걸렸다고 말하는 표현들은 지양해야 하는 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구성원이 똑똑하고 능력이 있어도 지도자가 멍청하면 절대 발전할 수가 없는 일이니까. 오히려 본인 사업하겠다고 다 흩어지지. 그렇다고 하여 독재 정권의 주범인 박정희를 싸고돌 생각은 추호도 없다. 단지 그가 이루어놓은 것들에 대해 인정은 하자는 것이다.


아, 가장 최근에는 경부고속도로 50주년을 맞아 기념비를 세웠는데, 박정희가 빠지고 김현미가 들어갔다고 한다. 참 개가 웃을 일이다.




3. 480page. 노무현 정권은 앞 정권의 신자유주의 정책을 이어받아 정리해고의 합법화, 파견 근로제의 도입 등 노동의 유연화를 강요했으며, 진보적 지지세력의 반대를 무릅쓰고 한미FTA 체결을 서둘렀다. 양극화 또한 더 심해졌다. 박정희가 만들어놓은 해외 의존 경제체제의 틀을 벗어난다는 것이 집권자로서 얼마나 어려운가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아파트값도 크게 상승했다.


노무현 정권에서도 전 전 정권 탓을 하고 있다. (진보라면서 맨날 전 정권, 전 전 정권, 전 전 전 정권 탓만 해. 이건 고대 유물이야? 맨날 똑같아.)

그리고 아파트값이 상승했다는 이야기는 뒤에 꼬리처럼 왜 붙여놨어. 누구 탓이 아니라 누가 봐도 노무현 정권은 완벽한 부동산 실패였는데.


또 NLL은 정황만 있고 적나라하게 드러나지 않아서 기술하지 않은 건가요?...



권양숙 뇌물 받은 정황은 따로 얘기도 안 하고 이명박이 비리를 캐내기 위해 공권력을 대거 동원했기 때문에 노무현이 자살했다고 기술했다. 권양숙을 위로하는 김대중이라고 사진이 실렸는데 나는 그 부분을 오려내고 싶었다. 뇌물을 받은 것이 사실이라면 그는 위로받아야 하는 사람이 아니라 죄책감을 느껴야 하는 사람인 것이다. 노무현이 죽음을 택한 이유는 본인이 가진 도덕성과의 충돌이 아니었을까 한다. 그것들이 결코 죽음으로서 미화가 되면 안 된다. 가장 악랄한 방법이다. 이는 가장 최근에 있었던 박원순도 마찬가지다.




4. 김대중·노무현 정권에는 그렇게 칭찬 일색을 늘어놓고 이명박 정권이 들어오자 또 경제가 어쩌고 하며 까내린다. 진짜 질린다.

하지만 가장 질리는 대목은,


484page. 박정희 추종자답게 극우반공 성향이었는데, 치열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천안함 사건’을 계기로 대북 봉쇄정책을 펴 남북 관계와 한반도 평화를 박정희·전두환 시대로 되돌려놓았다.



당연하잖아.

그럼 가만히 있나? 북한이 부모야? 형제야? 자식이야? 뭐야?

부모라도, 형제라도, 자식이라도 연 끊고 살 수 있어.

하물며 진짜 우리 부모, 형제, 자식인 국민이 죽었어.

다른 사건들과 비교했을 때 온도 차이가 나도 너무 차이가 나는 것 같지 않니.

또 천안함 사건에 ‘계기’라는 맞지 않는 단어를 쓰는 것조차 우습다.




5. 결국 난 이 책에서 내가 취할 것만 취했고 버릴 것은 버렸다.

취한 것은, 난 저자의 말에 의하면 반공이라는 것이고, 그것이 전혀 부끄럽지 않다는 것이다. 나는 지금 내가 살아가는 동안 가장 많은 자유를 억압받는 지금의 정부에 강제로 헌납해야 하는 우리의 재산권을 지키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여전히 국방이 강화되지 못한 지금 현실에 애통한 마음이 든다.




6. 꼭 ‘객관적’이라는 단어는 뺐으면 좋겠다.

 

 


 

오탈자

221page. 조리돌리기는 293page에 있는 게 아니라 297page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