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찍으며 생각한 것 -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자서전
고레에다 히로카즈 지음, 이지수 옮김 / 바다출판사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레에다 히로카즈라는 이름은 알지만 영화는 한편도 못 봤습니다. 그리고 감독 이름을 모를 때 <걸어도 걸어도>나 <아무도 모른다>는 영화 제목은 들어본 것 같기도 합니다. 영화 감독 이름을 알게 된 게 언젠지 잘 생각나지 않습니다.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어요. 잘 모르는데도 이 책을 봤군요. 무슨 말을 하면 좋을지 몰라 미루다가 겨우 씁니다. 미룬 시간이 길지는 않았습니다. 그 시간은 책을 만난 시간에도 들어가겠지요. 책을 보면서 제가 영화를 봤다면 조금 더 잘 알아들었을지도 모를 텐데 했습니다. 《원더풀 라이프》는 책으로 보려 했는데 게을러서 아직도 못 봤습니다. 그 영화에는 배우도 나오지만 일반 사람도 나온다더군요. 올해 안에 책을 만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어떻게 될지 모르겠습니다.

 

 책을 보고 알게 된 게 있습니다. 고레에다 히로카즈는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를 먼저 만들었더군요. 다큐멘터리를 만들다 우연히 <환상의 빛>을 드라마로 만들어 보면 어떠냐 하는 말을 듣고, 드라마가 아닌 영화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 영화 한국에서는 몇해 전에야 했군요. 어쩌면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 이름이 더 알려진 뒤 다시 한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바닷마을 다이어리> 때는 이름 알았습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때 알았을지도. 이 말을 또 하다니.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환상의 빛>을 드라마가 아닌 영화로 만들었는데, 드라마 만든 것도 있더군요. 그건 우연히 봤습니다. 아베 히로시가 나오는 <고잉 마이 홈>. 몇해 전에 봐서 어떤 이야기였는지 잊어버렸어요. 어쩐지 아쉽네요. 딱 하나 봤는데 그걸 기억하지 못하다니. 그 드라마 괜찮았던 것 같아요.

 

 한국 배우 배두나가 일본 영화에 나온다는 말은 들었습니다. <공기인형> 이야기는 잡지에서 봤는데 잘 알고 본 건 아닌 듯합니다. 공기인형이 뭔지 몰랐습니다. 그때 관심을 가지고 봤다면 좀더 알았을지. 지금 생각하니 그때는 일본 문화를 잘 몰랐네요. 일본말에 관심을 갖고 일본 소설(추리, 미스터리)을 보고 어느 정도 알게 됐습니다. 그래도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쓴 이 책을 보고 공기인형은 알았습니다. 예전에 SF인가 하는 생각을 했으니. 그건 <공각기동대> 때문이 아닐지. 공각기동대가 어떤 건지 잘 모르지만.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배두나 칭찬을 많이 했어요. 배우는 카메라를 생각하고 연기를 하는군요. 다큐멘터리라 해도 모두 실제 모습은 아니다 합니다. 그걸 찍는 사람은 카메라가 있다는 걸 알고 움직입니다. 영화 <아무도 모른다>는 다큐멘터리처럼 보인다고도 하던데. 고레에다 히로카즈는 엄마가 아이를 버린 것보다 남은 아이들이 어떻게 지내는지 담고 싶었답니다.

 

 텔레비전 드라마와 영화는 다르겠지요. 영화는 한정된 시간 안에 보여줘야 해서 찍기 힘들겠습니다. 아니 찍은 뒤 편집을 잘 해야겠군요. 고레에다 히로카즈는 영화를 디지털 카메라뿐 아니라 필름 카메라로도 찍으면 좋겠다고 했습니다. 그러게요. 뭐든 새로운 게 나오고 그게 편하면 예전 것은 거의 사라지지요. 저는 둘 다 있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데이터는 쉽게 사라질 수도 있잖아요. 요즘은 음악도 CD가 아닌 음원이라고 하더군요. 앨범을 만들면 그 안에서 잘 알려지는 건 한두곡뿐이군요. 지금은 많은 곡을 만들지 않고 나중에 곡을 모아서 앨범을 내도 괜찮겠습니다. 그러고 보니 다른 나라는 싱글을 여러 장 내고 앨범을 냈군요. 필름 카메라 이야기 하다 이런 말을 하다니. 영화하고 상관없는 말이군요.

 

 예전(좀 오래전)에는 영화를 가끔 봤는데 지금은 거의 안 봅니다. 텔레비전 방송으로 해주는 것도. 저는 안 본다 해도, 앞으로도 영화 만들기를 바랍니다. 그것을 보고 꿈을 갖고 위로 받는 사람도 있겠지요. 영화를 보고 여러 가지 생각도 하겠습니다.

 

 

 

희선

 

 

 

 

☆―

 

 <아무도 모른다>는 칸 국제영화제에서 여든 번에 가까운 취재를 받았는데, 가장 인상깊었던 건 “당신은 영화 등장인물을 판단하지 않습니다. 아이를 버린 어머니조차 단죄하지 않지요.” 하는 지적이었습니다. 저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영화는 사람을 판가름하려고 있는 게 아니고 감독은 신도 재판관도 아닙니다. 악인을 나오게 하면 이야기(세계)는 알기 쉬울지도 모르겠지만, 그러지 않아서 오히려 관객은 이 영화(<아무도 모른다>)를 자신의 문제로 여기고 일상으로 끌어들여 돌아갈 수 있지 않을까요…….”

 

 이 생각은 지금도 바뀌지 않았습니다. 영화를 본 사람이 일상으로 돌아갈 때 자신의 일상을 보는 방식이 바뀌거나 일상을 비평하는 기회가 되기를 언제나 바랍니다.  (190~19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